산업 중기·벤처

소상공인단체 “거리두기 연장 실망...100% 손실보상 필요”

보상금 선지급은 긍정적...대다수 업체 혜택 봐야

“과감한 재정지원 촉구...‘100조 추경’ 논의 시작해야”

지난 28일 저녁 서울 한 식당 앞에 코로나19 방역정책에 항의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 연합뉴스지난 28일 저녁 서울 한 식당 앞에 코로나19 방역정책에 항의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31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2주 연장한다는 방침을 내놓자 소상공인들은 큰 실망을 나타냈다. 정부가 도입한 손실보상금 500만 원을 선지급하는 데에선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온전한 손실 보상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확진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상황에서 일말의 기대를 했으나 또다시 물거품이 돼 깊은 실망과 허탈감을 감출 수 없다”며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일방적 희생만이 강요됐을 뿐 정부 정책이 무엇이었는지 묻고 싶은 심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어 “소상공인들은 100% 손실보상을 원한다”며 “일상회복 중단 이후 전국적 영업제한이라는 새로운 국면이 펼쳐진 상황에서 손실보상법에 의거한 온전한 손실보상이 시행되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소공연은 또 “손실보상 대상 확대와 사각지대 지원을 위한 과감한 재정지원을 촉구한다”며 “대선 주자들이 ‘100조 원 지원’을 주장하는 만큼 국회가 100조 추경안을 논의하라”고 했다.

손실보상금 500만 원을 선지급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소공연은 “선지급 후정산 방침은 소상공인연합회가 그동안 주장해온 방안으로 정부 대처에서 전환을 이룬 것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지급 대상을 확대해 대다수 업체가 혜택을 받는 추가 대책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