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새해 첫날 월북…노크 귀순 22사단 또 뚫려

1일 신원미상 1명 동부전선 DMZ 통해 월북

CCTV 월책장면 찍었으나 감시병은 알지못해

2시간40분 후에야 열상장비로 DMZ로 발견

현장에 부대 급파했으나 흔적 못 찾고 작전종료

이후 CCTV 재생해 확인했으나 신병 확보 못해

현지 GP는 '9.19합의'로 병력철수시켜 빈 상태

가뜩이나 인력,장비 부족한 22사단서 또 허점





우리 군이 새해 첫날부터 또다시 경계 작전에 실패해 비무장지대(DMZ)에서 월북자를 놓치고 말았다. 이번 월북 사건은 문재인 정부가 남북 군비 통제를 골자로 하는 ‘9·19 군사합의’에 따라 전방 휴전선감시초소(GP)의 병력을 비운 이른바 ‘보존GP’지역 일대에서 발생했다.



2일 합동참모본부는 “어제(1일) 오후 9시 20분께 동부전선 DMZ 내에서 미상 인원 1명을 감시 장비(열상 장비·TOD)로 포착해 신병 확보를 위해 작전 병력을 투입, DMZ 작전 중 해당 인원이 오후 10시 40분께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월북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번 사건을 일으킨 미상 인원이 월북을 위해 일반전초(GOP) 철책을 넘는 월책 장면은 지난 1일 오후 6시 40분께 현장 인근에 설치된 우리 군의 과학화 경계 시스템 폐쇄회로TV(CCTV)에 포착됐다. 그러나 해당 장면이 찍힐 당시 CCTV 감시병은 월책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2시간 40분이나 지난 오후 9시 20분 무렵에서야 우리 군의 열상 장비(TOD)가 해당 월북자를 DMZ 내에서 포착했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초동 조치 부대를 현장으로 출동시켜 철책을 점검했으나 월북자 흔적 등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채 작전을 종료했다.

해당 부대는 철책 점검 후 오후 10시 20분 무렵 현장 상황 재확인을 위해 CCTV 녹화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당일 오후 6시40분 무렵에 찍힌 월책 장면을 확인했다. 그러나 해당 미상 인원은 당일 오후 10시 40분 무렵 남북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월북했다. 결국 우리 군은 경계에도 실패하고 월북자 사후 신병 확보도 하지 못하고 말았다.

이날 월북 사건 이후 북측에서 총성 등의 특이 동향은 없었다고 합참은 전했다. 다만 미상 인원이 MDL을 넘어간 후 북한 측 지역에서 미상 인원 4명이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4명이 북측에서 마중 나온 인원인지, 혹은 이번 월북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인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에 월북자 경계 및 신병 확보에 실패한 부대는 육군 보병 22사단이다. 험준한 산악 지역의 철책과 인근 해안 지역까지 감안하면 100㎞가 넘는 지역의 경계를 담당하는데 인원과 장비가 부족한 탓에 자주 경계 실패 등의 사태에 휘말렸던 부대다. 군은 과학화 감시 체계 등으로 경계 사각지대를 보강해왔지만 이번 사건으로 과학 장비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이 재확인됐다. 따라서 경계 인원 확충 및 수시 점검 등의 대안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