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앙임상위원장 "K-방역, 오미크론 대응엔 부적절…비코로나 환자 피해 최소화해야"

중앙임상위원회 오명돈 교수 12일 기자회견

"오미크론 대유행 감당하려면…동네 병원도 코로나 진료해야"

중앙임상위원회가 12일 서울 중구 을지로 중앙예방접종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진용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장,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 전재현 국립중앙의료원 전문의/연합뉴스중앙임상위원회가 12일 서울 중구 을지로 중앙예방접종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진용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장,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 전재현 국립중앙의료원 전문의/연합뉴스




정부 치료자문기구인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기존 방역수칙과 제한적인 의료대응체계로는 오미크론 대유행을 감당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는 12일 국립중앙의료원 기자회견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오미크론은 델타 바이러스와 확연히 다르다"며 "피해 최소화와 사회 기능 유지를 방역 목표로 설정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관련기사



오 위원장은 이 같은 주장의 근거로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드러난 환자 중증도를 비교 자료를 제시했다. 자료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델타 환자보다 오미크론 환자의 입원 기간이 짧았다. 캐나다와 영국에서는 환자의 중증도가 낮게 나타났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승을 부리는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와 확연히 다르다는 설명이다.

오 위원장은 "공공은 코로나19 진료를 담당하고 민간은 비(非)코로나19 진료를 맡는 현 체제에 한계가 있다"며 "전체 의료 기관이 코로나19 환자 진료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당시를 돌아볼 때, 코로나19 진료로 인해 비(非) 코로나19 진료에 부수적 피해가 있었다는 분석이다. 특히 정부가 코로나19 증상 발생 20일이 지난 중증 병상 환자에 대해 전원 명령을 내린 사례와 관련해서는 "개별 환자 위주로 돌아가는 의료 현장과 괴리가 있었다"고 비판했다. 오미크론 대유행 시기에는 일상 진료가 마비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감도 나타냈다.

오 위원장은 "의료현장·환자·국민은 평상시 의료를 요구한다. (현 체제는) 비상·위기 시 의료 대응 준비가 안 돼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K-방역은 코로나19 초기에는 적절했으나 백신 접종 이후에는 부적절하다"며 "방역의 벽을 낮추고 일상 진료를 회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