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홍기자의 블록체인 tmi] "2022년은 DAO의 해 될 것"…탈중앙화자율조직(DAO)이 뭐길래?





탈중앙화자율조직(DAO)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미국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업체 메사리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2020년이 디파이(탈중앙화금융)의 해였고 2021년이 대체불가토큰(NFT)의 해였다면 2022년은 다오의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오, 대체 어떤 개념이길래 이렇게 '핫'한 건지, 전망과 관련 코인까지 함께 알아봅시다.





DAO는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약자로, 블록체인상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운영되는 탈중앙화자율조직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계약을 실행하도록 만든 기술을 말한다. 기존 기업에서는 의사결정을 내리기까지 회의, 결재 등 많은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다오에서는 미리 짜여진 코드, 즉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뤄진다. 즉, 다오는 블록체인 상 암호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컴퓨터 코드와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조직이다.



다오는 매우 개인적이면서도, 수평적인 특성을 가진다. 누구나 익명성 전제 하에 얼마든지 조직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 전통적인 조직처럼 대표, 관리자가 필요하지 않고, 개인이 모여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구조인 것이다. 다오는 상호 신뢰가 없더라도 모든 진행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뤄진다. 기존 조직에선 특정 개인에 의해 임의로 의사결정 방향이 결정되거나, 수정될 가능성이 존재했다. 하지만 다오에선 인간의 개입 없이 코드가 결정 사항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부패나 비리의 가능성이 원천 차단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모든 내역은 블록체인 상에 투명하게 기록되기 때문에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일각에서 다오를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보는 이유다.

관련기사



/출처=셔터스톡/출처=셔터스톡


다오는 암호화폐를 통해 자금을 충당한다. 다오에서 발행한 암호화폐(거버넌스 토큰)를 가진구성원들이 의사결정 권한을 가져가는 식으로 운영된다. 기존 전통적 조직에서는 기업의 성과가 대부분 경영자에게 돌아갔던 것에 반해 다오는 암호화폐를 통해서 조직의 성과를 모두가 나눠 가질 수 있다. 조직이 성장할수록 다오의 암호화폐 가치도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조직원 모두는 다오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암호화폐를 매개로 개인과 조직의 이익이 합치되는 셈이다.

현행법상 다오는 아직까지 법적 지위를 인정받지는 못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다오를 합법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미국 와이오밍 주정부는 '더아메리칸크립토페드' 다오를 유한책임회사(LCC)로 인정하면서 영업 활동을 허가했다. 앞으로도 활용 사례와 영향력이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오가 법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1월 26일 코인마켓캡 기준 DAO 관련 시가총액 상위 10개 코인/출처=코인마켓캡1월 26일 코인마켓캡 기준 DAO 관련 시가총액 상위 10개 코인/출처=코인마켓캡


다오 관련 코인에는 유니스왑(UNI), 스시스왑(SUSHI), 커브(CRV), 에이브(AAVE), 메이커(MAKER), 대시(DASH), 컴파운드(COMP), 신세틱스(SNX) 등이 있다.


홍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