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병·의원서 '검사~먹는 치료제'까지 원스톱…1004곳으로 확대 예정

[3일부터 의료체계 개편]

의원 343곳·클리닉 391곳 시행

선별진료소선 고위험군만 PCR






3일부터 동네 의원 343곳과 호흡기전담클리닉 391곳에서도 코로나19 검사·진단·치료를 한꺼번에 받을 수 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비해 전파력은 강하지만 중증화 위험은 낮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을 고려해 의료 체계를 개편하는 것이다. 향후 진료에 참여하는 의원은 1000곳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동네 병·의원은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이라는 명칭으로 검사 및 치료 체계에 참여하게 된다”며 “동네 의원 391개 소는 3일부터 즉시 새로운 검사와 치료 체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참여 병·의원이 계속 확대돼 1004개 소까지 운영된다”며 “개별 의료기관에 최종적으로 참여 의사와 진료 개시 시점 등을 확인을 거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새 치료 체계에 호흡기전담클리닉 439개 소 중 428개 소가 동참한다. 이 중 391곳은 3일부터 즉시 시행되며 나머지는 차례로 참여할 예정이다. 손 반장은 “인력 확보 및 영세한 규모 등으로 어려움이 있는 11개 소는 추가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사 수요 급증에 대비해 코로나19 검사 시스템도 바뀐다. 코로나19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관련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가 있는 사람,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이 우선적으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선별진료소, 호흡기전담클리닉, 동네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양성이 나올 경우에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선별진료소에서는 관리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무료로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호흡기전담클리닉이나 동네 병·의원에서는 5000원을 내야 한다. 최종 양성 판정을 받으면 동네 병·의원에서 ‘팍스로비드’ 등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병·의원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일반 대상자는 병·의원급에 배정돼 재택치료를 받게 된다. 증상이 경증인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의사들은 비대면으로 환자들의 건강 상태를 하루 한 번씩 확인한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