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지금 우리 학교는' 이재규 감독 "절비에 투영된 인간성, 절망 속 희망 담았죠"

좀비보다 무서운게 인간의 폭력

작품 속 학교, 우리 사회와 같아

그래도 문제 푸는 건 결국 사람

대학 동기 '오겜' 황동혁 감독이

공개 전 부담갖지 말라며 격려도

이재규 감독. 사진 제공=넷플릭스이재규 감독. 사진 제공=넷플릭스




“살아가면서 모두가 크고 작은 폭력에 많이 노출돼 있습니다. 대중이 좀비물을 좋아하는 지점을 거기에서도 찾을 수 있죠. 학교 폭력이지만 모든 집단이나 사회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이고 일반 사회의 모습과 다르지 않아요. 작품을 본 후에 우리 사회와 다른 점이 없구나, 난 어떤 사람인가 생각할 기회를 물밑에서 느꼈으면 합니다.”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에는 폭력성과 선정성 논란이 공존한다. 그나마 원작을 순화해서 받은 것이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이다. 지난달 28일 공개 후 OTT 순위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서 9일째 넷플릭스 TV쇼부문 글로벌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이 작품을 시청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작품을 연출한 이재규 감독도 7일 취재진과 화상으로 만난 자리에서 청소년들이 이 작품을 접하는데 대해 고민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그럼에도 그는 “전하려는 주제의식 자체는 나쁘지 않다고 본다”고 작품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넷플릭스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해외에서는 좀비물과 학원물의 결합이 ‘지금 우리 학교는’의 주된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그보다 사회문제에 대한 메시지에 주목하는 이들이 많다. 고립된 학생들이 캠코더로 부모에게 보내는 영상을 남기며 “아무도 우릴 구하지 않았어”라고 말하는 모습에서는 세월호 참사가 떠오른다. 이 감독은 “특정 사건을 모티프로 삼은 건 아니”라면서도 “세월호든 삼풍백화점이든 일어나선 안 될 인재(人災)가 왜 일어날까를 담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좀비 떼가 출몰하는 디스토피아를 다뤘지만, 이 감독은 “끊임없이 희망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했다”고 말한다. 메인 악역인 귀남(유인수)을 사람처럼 살아있는 좀비로 설정해 ‘좀비보다 무서운 게 인간’이라는 메시지를 넣었지만,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희망 역시 인간에게 있을 거라는 점을 그는 강조한다.

넷플릭스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지금 우리 학교는'은 액션 면에서 ‘부산행’, ‘킹덤’, ‘#살아있다’ 등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한국 좀비물의 새로운 진화라는 평가를 받는다. 교실과 급식실, 도서관, 체육관 등 학교 곳곳에서 좀비와 이를 피하는 인간들이 속도감 있고 역동적인 액션을 선보인다. 여기에 카메라 워킹과 편집은 극의 긴박감을 한층 살려주는 역할을 한다. 좀비가 출몰할 때 현장감을 높이기 위해 롱테이크로 찍으면서도 극과 극을 오가는 카메라 워킹을 구사하고, 촬영에 앞서 리허설이나 시뮬레이션을 거듭 거치는 등 숱한 노력 끝에 탄생한 결과물이다. 특히 주인공 청산(윤찬영)과 귀남의 도서관 액션 장면은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이 장면만 꼬박 5일에 걸쳐 촬영을 하면서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는 이 감독은 “스태프와 함께 하며 용기를 얻었다”며 “이 장면을 현장에서 편집을 통해 조율하면서 자신감을 얻었다”고 돌아봤다.

작품이 ‘오징어 게임’ 등에 이은 K콘텐츠의 성공 사례로 큰 관심을 받고 있지만, 정작 이 감독은 이렇게까지 좋은 반응은 예상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이 감독은 “한국은 창작자든 시청자든 흥이 있고, 감정적으로도 깊은 것 같다”며 K콘텐츠의 인기에 대해 “감정적, 정서적으로 깊이 들어가서 바라보는 작품을 잘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소구할 수 있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넷플릭스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넷플릭스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사진 제공=넷플릭스


서울대 신문학과 동기인 ‘오징어 게임’의 황동혁 감독과의 오랜 인연도 주목을 받고 있다. “황 감독과는 오래된 친구라 ‘오징어 게임’이 터졌을 때 신기하고 놀랍고 기뻤어요. 그래서 전화로 축하하면서, 내년엔 내 작품도 공개해야 하는데 ‘오징어 게임’ 때문에 부담된다고 했더니 ‘어쩌면 내가 전 세계에 문을 열어준 것이니 부담 갖지 말고 고마워해야 하지 않느냐’고 하더군요.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 시청자를 향한 창문을 살짝 열어줬다면, ‘지금 우리 학교는’이 그 열린 문을 통해 배달되는 첫 콘텐츠가 됐으면 합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