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CJ ENM, K콘텐츠 바람 타고 작년 영업익 전년대비 9.1%↑ 2969억원

드라마·예능·K팝 고성장에 연간 영업이익 최고치 달성

올해는 매출 4조원대 달성 목표 제시해… "콘텐츠 경쟁력 강화"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본사 사옥 전경. 사진 제공=CJ ENM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본사 사옥 전경. 사진 제공=CJ ENM




CJ ENM(035760)은 작년 한 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9.1% 늘어난 2969억원, 매출은 4.8% 증가한 3조5524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올해는 콘텐츠·상품 경쟁력을 압도적으로 키움으로써 매출 4조3000억 원, 영업이익 2700억 원을 기록하겠다는 목표다.



CJ ENM은 미디어와 음악부문이 고성장을 기록하며 영업이익이 연간 기준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이날 이같이 밝혔다. 미디어부문의 경우 연 매출 1조7745억 원을 나타냈으며 영업이익은 1665억 원으로 최고치를 달성했다. 성장을 이끈 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 등 디지털 매출이었다. 티빙의 유료가입자는 4분기에만 전분기대비 18.9% 늘었고, 디지털 매출도 같은 기간 전년동기대비 59.7% 증가했다. 음악부문도 매출 2819억 원의 연매출을 나타냈으며, 4분기엔 매출 985억원, 영업이익도 192억원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엔하이픈 등 소속 아티스트와 ‘갯마을 차차차’·‘슬기로운 의사생활’ 등의 OST 매출이 높았다.

관련기사



CJ온스타일 등 커머스부문은 지난해 모바일 중심으로 투자를 늘린 데다 TV채널 운영 비용 등 고정비 증가 영향으로 전년 대비 실적이 다소 줄었다. 매출은 1조3785억 원, 영업이익은 1201억 원이었다. 영화부문은 코로나19의 창궐이 2년 넘게 계속되면서 282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라이브러리 수출과 미국·터키 등 해외 프로젝트를 통한 매출이 증가했음에도 미국에서 개봉한 ‘Hide & Seek’ 등의 극장 매출이 부진했다.

CJ ENM은 올해 압도적인 콘텐츠와 상품 경쟁력 확보, 멀티스튜디오 및 글로벌 사업 확장, 주주 친화 경영 및 ESG 경영 강화 등을 통해 매출과 수익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특히 2압도적인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콘텐츠 제작을 강화해 티빙에서 유료 가입자 수 400만명 이상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올해 티빙 오리지널로 ‘방과 후 전쟁활동’·‘괴이’ 등 다채로운 드라마들이 준비 중이다. 미디어부문에선 노희경 작가의 신작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등 작품과 예능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음악 부문에선 ‘아이랜드2’ 등 글로벌 팬덤을 타깃으로 한 아티스트 육성을 강화하고, 엔하이픈·케플러 등 기존 가수들의 활동도 확대한다.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영화부문도 올해는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 최동훈 감독의 ‘외계+인’,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 등 라인업을 강화한다. 공연사업 역시 하반기 ‘킹키부츠’, ‘물랑루즈’, ‘브로드웨이 42번가’ 등 대형 뮤지컬을 올릴 계획이다.

CJ ENM 관계자는 “올해는 콘텐츠 경쟁력 강화로 채널 시청 점유율 및 티빙 유료 가입자 증가 등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