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우크라 침공 위기 속 바이든-푸틴 다시 전화 담판…돌파구 못찾았다

美 "우크라 관련 모든 주제 다뤘으나 근본적 변화는 못만들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AFP 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AFP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관측 속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시간이 넘도록 통화했으나 뾰족한 돌파구는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에 따르면 양 정상은 12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의 요청으로 62분간 통화했다. 러시아는 당초 오는 14일 통화를 희망했지만 미국이 이날로 앞당길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을 감행한다면 미국은 동맹, 파트너와 함께 단호히 대응하고 러시아가 가혹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러시아의 위상이 떨어질 것이라고도 재차 강조했다.

또 미국은 동맹과 충분한 조율을 통해 러시아와 외교적으로 문제를 풀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우리는 다른 시나리오에도 똑같이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미 당국자는 이날 통화에 대해 미국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공개적으로 제기한 모든 주제를 다뤘다면서도 몇 주간 전개된 상황에 대한 근본적 변화를 만들진 못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또 두 정상은 향후 며칠간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양국의 관련 팀들이 계속 연락하기로 합의했다고 이 당국자는 밝혔다.

관련기사



러시아는 이날 정상 통화에 대해 "미국의 히스테리가 극에 달한 가운데 이뤄졌으나 대화 내용은 균형잡히고 효율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담당 보좌관은 정상 통화 후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게 러시아의 안보 보장에 대한 생각을 전했지만, 불행히도 러시아의 주요 우려 사항은 고려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러시아 안보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견해를 신중히 검토하기로 합의했다”며 “조만간 우리의 반응을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는 이날 통화가 이틀 앞당겨진 배경에 대해선 ‘미국의 히스테리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오늘 대화는 애초 월요일(14일)로 예정돼 있었으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는 미국의 히스테리 때문에 앞당겨졌다”고 비판했다.

앞서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1월 유럽 정상들과의 화상 회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점을 16일로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미국이 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설과 관련한 잘못된 정보를 언론에 제공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