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日, 에도시대 한정해 사도광산 등재…징용 자인한 것"

동북아역사재단 '유네스코 등재 추진 대응' 세미나

역사전쟁 앞세워 국내 정치에 활용

정권 유지 위한 日 정부의 노림수

시기 한정한 세계문화 유산 적어

평가 기간 축소가 자충수 될수도

사도광산의 상징인 V자형 광산 ‘도유노와레토(道遊の割?)’./연합뉴스사도광산의 상징인 V자형 광산 ‘도유노와레토(道遊の割?)’./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니가타현 사도(佐渡)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강행하는 것은 세계유산을 정권 유지에 활용하려는 일본 정부의 노림수 때문이라는 일본 시민단체의 주장이 제기됐다. 아울러 사도광산을 상업적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려는 목적도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 등재에 열을 올리는 이유로 지목됐다.



고바야시 히사토모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 사무국 차장은 16일 동북아역사재단이 주최한 '일본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강행에 따른 대응과 전망' 온라인 국제학술세미나에서 일본 기시다 정부와 아베 전 정부의 역사수정주의를 지적하며 “사도 광산 문제는 인류 전체를 위한 유산이라는 세계유산 가치관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했다.

사도광산을 대표하는 아이카와 금은산에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갱도.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사도광산에서 강제 노역한 조선인은 2000명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사도광산을 대표하는 아이카와 금은산에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갱도.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사도광산에서 강제 노역한 조선인은 2000명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그는 일본이 사도광산 가치의 평가기간을 에도시대(1603~1867)로 한정한 것을 두고 “이는 일본 정부가 ‘메이지 산업혁명유산’을 1910년까지로 한정해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 했던 꼼수와 닮아 있다"며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이 됐으면 좋겠다는 주민의 바람을 왜곡해 ‘역사 전쟁’으로 부르며 정치에 이용하고 외교 문제로 변질시켰다”고 지적했다.

일본 문화청은 지난 1일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한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신청서에 평가 기간을 에도 시대 이전으로 한정하고, 평가 대상도 당초 3개 지역 9개 유산에서 2개 지역 3개 유산으로 축소했다. 제외 대상은 메이지 후기 이후에 건설된 시설과 1938년 중요광물증산법 공포 후 설치된 채굴 관련 시설들이다.

사도광산 내부 모습 /연합뉴스사도광산 내부 모습 /연합뉴스



유네스코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한국위원회 이사인 강동진 경성대 교수도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평가 기간을 에도 시대로 한정한 것은 “일본 스스로 사도광산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의 사실이 있었음을 인정한 것”이라며 “메이지 시대 이후의 변화에 대한 치명적 한계나 약점, 즉 강제동원과 관련된 역사 은폐가 주목적"이라고 비판했다.강 교수는 “사도광산을 대표하는 풍경인 도유노와레토(道遊の割?)의 74m에 이르는 V자형의 계곡 형상은 에도 시대가 아닌 메이지(1868~1912) 시대의 다이너마이트 폭파로 인한 결과물일 수 있다"며 “일본이 에도 시대로 기간을 한정하면서 사도광산 최고의 풍경이자 노출 광산의 흔적인 도유노와레토 형성 시기에 대한 논쟁도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현재 세계유산 가운데 시간이나 시기를 한정한 사례는 10여 점에 불과하다. 바우하우스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독일의 '졸페라인 폐광산'이나 모더니즘 건축의 상징인 네덜란드 '반 넬레 공장'이 대표적이다. 다만 이 곳들은 모두 유산 탄생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체 변천 과정에 대한 가치가 입증된 곳들이다. 때문에 사도광산의 평가 기간 및 대상 축소는 오히려 등재에 문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이날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일본이 무리하게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데에 경제적 계산이 깔려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사도 섬 관광객 수는 2005년 67만 7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5년 50만 명까지 감소했지만,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국내외 관광객을 끌어모아 관광 수입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고바야시 차장은 “일본은 인류의 자산을 대부분 경제적 이익을 낳는 관광 자원으로 간주한다”면서 “사도 섬의 관광객 수를 늘리려면 한일 갈등을 부추기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풍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전했다.

사도광산 내부 갱도./연합뉴스사도광산 내부 갱도./연합뉴스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막기 위해 조선인 강제징용 사실을 적극 알려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일본 정부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전시 노무동원은 ‘강제노동에 관한 조약’에서 금지한 강제노동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사도광산에는 1519명의 조선인이 동원됐는데, 모두 합법적인 전시 노무 동원이라는 주장이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정책실장은 "사도광산에 조선인이 강제 동원돼 강제노동을 했다는 사실을 국제사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며 "이와 함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이 유네스코가 내세운 가치와 세계유산제도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점을 부각해 국제 연대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6일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열린 '일본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강행에 따른 대응과 전망' 온라인 학술세미나에서 장원삼 동북아역사재단 사무총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16일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열린 '일본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강행에 따른 대응과 전망' 온라인 학술세미나에서 장원삼 동북아역사재단 사무총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