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미영, 러시아 은행 등 제재…나스닥 -1.23%·S&P 조정장 진입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다우 -1.42%·S&P -1.01% 기록

바이든 "VEB 은행 및 국채발행 제재"

WTI, 1.4% 상승한 배럴당 92.35달러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위기가 최고조로 치달으면서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22일(현지 시간) 미 경제 방송 CNBC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82.57포인트(1.42%) 떨어진 3만3596.6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44.11포인트(1.01%) 내린 4304.76, 나스닥은 166.55포인트(1.23%) 하락한 1만3381.52에 마감했다. 이로써 S&P500은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 조정장에 진입했다.

관련기사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 은행 VEB의 달러거래 제한과 함께 러시아 국채 발행을 금지했다. 또 일부 러시아 부유층 인사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은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다”며 외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영국도 러시아 은행 5곳과 유력 인사 3명에 대한 표적 제재에 나섰다. 이날 증시는 바이든 대통령의 연설 이후 낙폭을 줄였지만 결국 하락마감했다. 톰 에세이 세븐스리포트 설립자는 “우크라이나 상황은 매우 유동적이며 긴장감이 높은 상태가 지속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주가에 역풍이 될 것”이라고 봤다.

국제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수준까지 치솟았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의 3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1.28달러(1.4%) 오른 배럴당 92.3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 가격은 한때 최고 5% 이상 오른 배럴당 96.00달러에 거래되기도 했다. 런던 ICE 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 가격도 장중 전 거래일보다 6% 이상 오른 배럴당 99.44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 9월 이후 최고치다. 뉴욕상업거래소의 3월물 천연가스 가격도 100만 btu당 장중 4.8달러 수준까지 올랐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미국 경제와 월가의 뉴스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