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금리인상 제동 걸릴까"…3월 FOMC에 쏠린 눈 [이번 주 증시전망]

우크라이나발 사태로 글로벌 경기 둔화 심화

금리 인상 속도 늦출 듯…리오프닝 종목 주목

증권사, 코스피 예상 밴드 2540~2720선 제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2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컴퓨터 모니터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2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컴퓨터 모니터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이번 주 국내 증시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발 사태로 인해 심화된 글로벌 경기 둔화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예상에 힘이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증시가 반등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주 코스피 예상밴드를 2540~2720선으로 제시했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 코스피는 전주 대비 67.76포인트(-2.47%) 내린 2676.76으로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 투자가가 유가증권 시장에서만 1조 4597억 원, 기관이 5702억 원치를 팔아치우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이 1조 8503억 원을 순매수하며 매도 물량 대부분을 받아냈다.



한 주간 코스피는 인플레이션 압박과 금리 인상 불안에 변동장을 이어가다가 상황이 급격하게 나빠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큰 충격을 받았다. 러시아가 지난 21일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및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에 대한 독립을 승인한데 이어 22일과 24일 군사적 개입까지 감행했다는 소식이 실시간으로 전해지며 한국 증시는 물론 글로벌 증시 전반이 연일 하락세를 이어간 것이다. 러시아의 군사 행동 범위가 넓어지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정했던 금리 인상 속도를 다소 늦출 수 있다는 낙관론이 나오며 지난 주 마지막 거래일인 25일은 코스피가 1% 이상 오르는 등 반등했지만 주간 하락 폭을 모두 메우기는 역부족이었다.

관련기사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주에도 증시는 변동성 높은 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본격화로 지수의 약세는 다소 멈췄지만, 불확실성이 아직 해소되지 않은 만큼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980년 이후 지정학적 이벤트에 따른 S&P500의 하락률 평균은 -3.8%이고 현재 코스피 조정폭은 이에 준하는 상황이지만 신흥국 주식시장이 이런 리스크에 좀 더 취약하다는 점에서 변동성이 한 차례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공무역 중심인 한국의 경제구조 상 원자재 가격 상승이 유리하게 작용하는 업종은 거의 없으므로 방어적인 업종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 연준의 긴축 속도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한 화상 행사 연설에서 “연준은 러시아의 침공이 세계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며 “일단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주에는 대통령 선거가 일주일 뒤로 다가온 만큼 유력 후보들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위해 과감한 재정 지출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 코로나19 엔데믹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경기 재개(리오프닝) 관련 주를 추천했다. 김 연구원은 “국내 증시에서는 대외 영향을 덜 받는 내수 분야(의류, 유통, 음식료)와 엔데믹 전환을 대비한 리오프닝 관련주(호텔, 카지노, 면세점 등)이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여겨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이 제시한 이번 주 코스피 밴드는 2540~2700이다. 하나금융투자 역시 2600~2720선의 보수적인 밴드를 제시했다. 이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1.6%로 높지 않고 수입하는 원유(6.4%), 천연가스(6.7%) 역시 비중이 낮아 미-중 무역 갈등 국면 대비 실제 경제 피해액은 적을 것”이라면서도 “전면전 등 우려했던 시나리오가 현실화 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그에 따른 2차 가공 업체들의 원재료 상승 부담이 가중되는 구간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