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 전투기에 중국 국기 붙여 러 폭격, 구경만 하면 " 트럼프 또 막말

"절대적인 북한의 지도자"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극찬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해 "스마트하다"라고 평가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날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공화당 고액 기부자 회합에서 김 위원장을 언급하며 그를 칭찬했다고 입수한 연설 녹취록을 인용해 보도했다.

관련기사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발언할 때 북한의 장성과 관료들이 "차렷 자세로 앉아 있었다"며 김 위원장이 그들에게 말을 걸자 "주눅이 들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내 참모들을 보면서 내 참모들도 저렇게 행동하면 행동하길 원한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북한을 "전적으로 통제"하고 있다고도 언급했다. 해당 기사를 작성한 조쉬 도시 기자는 트위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 대해 "정말 터프하며, 절대적인 그 나라의 지도자"라고 말했다고도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미 대통령으로 재임했던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 정상회담과 이듬해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 같은 해 6월 판문점에서의 남북미 정상 판문점 회동 등에서 총 3차례 만났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후에도 퇴임 직전까지 김 전 위원장과 친서를 주고받는 등 관계를 유지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친서를 주고받은 사실을 공개하는 등 북한과의 관계를 자신의 치적으로 꾸준히 내세우기도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도 자신이 대통령을 연임했다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을 되풀이 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은 F-22 전투기에 중국 국기를 붙여 러시아를 폭격해야 한다"며 "그리고 나서 우리가 하지 않았다. 중국이 했다고 하면 그들이 서로 싸우기 시작할 것이고 우리는 그저 구경만 하면 된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