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푸틴 정신이상? NYT "코로나 극단 격리, 심리상태 영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연합뉴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을 강행한 러시아를 향한 국제사회의 지탄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년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극단적인 격리 상태에 놓였던 것이 이번 침공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미국 정보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지난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의 대(對)러 제재 전략 수립은 푸틴 대통령의 심리 상태에 대한 미국 정보기관들의 재평가와 연관됐다.

푸틴 대통령의 야심과 위험 감수 성향이 2년간의 코로나19 격리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인지, 아니면 지금이 러시아의 영향력을 재구축할 적기라고 느꼈기 때문인지에 대한 논쟁이 오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대확산 기간 러시아는 일상으로 되돌아갔음에도 푸틴 대통령 자신은 다른 나라의 정상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예방 조치를 취했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예를 들면 푸틴은 정부 관료들과 대부분 화상회의를 했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등 해외 고위 인사가 방문하더라도 푸틴 대통령을 직접 만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현재 푸틴 대통령은 방문객과 대면 접촉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관저와 크렘린궁을 찾은 모든 방문객은 소독 터널을 통과해야만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뿐만 아니라 일부 국가 정상은 푸틴 대통령과 외교 회담에서 거대한 탁자를 사이에 두고 약 6.1m나 떨어져 앉기도 했다. 이들 정상은 자신의 DNA가 러시아 측에 넘어갈까봐 러시아 측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푸틴 대통령의 극단적인 경계심은 그가 69세로 코로나19에 취약한 고령층인 점이 반영된 측면도 있지만, 그가 구소련 정보기관 국가보안위원회(KGB)에서 근무했을 당시 생긴 편집증적 성향 때문이기도 하다고 매체는 전했다.

미국 정보기관 관료들은 푸틴 대통령이 자충수를 뒀을 때 이런 경향이 더 강화된다고 지적하면서 푸틴 대통령이 초기 러시아군이 저지른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도시를 무차별적으로 폭격하거나, 미국 금융시스템을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핵 위협을 더욱 고조시킬 수도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