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현대제철·포스코 잇단 사망 사고에… 정부, 안전강화 방안 모색

전국금속노동조합 조합원들이 3일 현대제철 충남 당진공장 B 지구 정문 앞에서 안전난간조차 없는 부실한 안전조치와 2인 1조 작업이 지켜지지 않아 노동자 사망사고가 또 다시 반복됐다며 현대제철과 고용노동부 대전지방청을 규탄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속노조전국금속노동조합 조합원들이 3일 현대제철 충남 당진공장 B 지구 정문 앞에서 안전난간조차 없는 부실한 안전조치와 2인 1조 작업이 지켜지지 않아 노동자 사망사고가 또 다시 반복됐다며 현대제철과 고용노동부 대전지방청을 규탄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속노조






현대제철(004020)과 포스코 등 철강 생산 현장에서 사망 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현장 안전강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철강업계 현장 안전 강화 방안 점검회의’를 열어 철강 기업 및 철강협회와 안전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 참석한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001230), KG동부, 세아베스틸(001430) 등은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관련 대응 조직을 격상하고 예산을 확대했다. 전 직원 대상 안전교육 강화, 작업장 안전관리요원 배치 확대, 현장 위험성 평가제도 강화, 불완전한 현장 신고제 운영 등 안전 관리에도 힘쓰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철강 생산 현장에서는 안전사고로 인한 작업자 사망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업계는 업체별 안전 관련 임원이 참여하는 '철강산업 안전 대응 협의회'(가칭)를 신설하고 주기적으로 안전관리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업계는 협의회에서 다양한 작업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안전 대응 방안도 논의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전에 대한 투자는 단순 비용이 아니라 기업의 매출을 지키고 중장기적으로 이익을 늘리기 위한 자산”이라며 “작업자의 실수까지 염두에 두고 안전장치를 설계하는 등 안전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