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팔·다리 날아간다, 오지 말라" 의용군 참전 韓 청년의 경고

/사진=KBS 방송화면 캡처/사진=KBS 방송화면 캡처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국제의용군으로 참전하겠다며 우크라이나에 입국한 한국인 9명 가운데 2명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의용군에 소속돼 참전 중이라고 주장한 한국 청년 2명이 전쟁의 참혹함을 전했다.



28일 KBS는 우크라이나 의용군으로 참전한 한국 청년 2명과 진행한 화상 인터뷰를 내보냈다. 이들은 본인과 가족들의 안전을 위해 선글라스와 복면을 착용하고 인터뷰에 응했다.

이들은 "이달 초 우크라이나에 들어왔는데, 알려진 것보다 한국인 의용군이 많다"면서 "어떤 장교는 40명이라고 했었고, 또 의용군 모집관한테 따로 얘기해봤는데 '20명 정도 된다'란 얘기도 들었다"고 했다.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 보고 느꼈다는 이들은 지난 13일 러시아군이 쏜 미사일 30발에 폴란드 인근 야보리우 훈련소의 의용군 수십 명이 사망했을 당시 자신들도 그 장소에 있었다고도 했다.

A씨는 "미사일이 폭발할 때 팔 쪽에 파편을 맞았는데 같은 소대 폴란드 친구가 업고 이동시켜줘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또한 B씨는 "히어로 판타지물 그런 것도 아니고, 진짜 팔 날아가고 다리 날아가고 살점 다 태워지고, 정말 비극 그 자체"라면서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으로 참혹하다. 한국에서 더는 지원자가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의 한 공원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의용군이 러시아군 침공에 대비해 합동훈련을 하고 있다./AP연합뉴스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의 한 공원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의용군이 러시아군 침공에 대비해 합동훈련을 하고 있다./AP연합뉴스



국제의용군에 지원하게 된 이유에 대해 B씨는 "일반 시민들과 어린아이들 죽고 다치는 걸 그냥 마냥 보고 있기만은 힘들어서 지원하게 됐다"면서 "진심인 만큼 과도한 비난은 멈춰 달라"고 호소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A씨는 "어머니, 아버지 걱정 끼쳐서 죄송하고 무사히 살아서 돌아가겠습니다"고 안부를 전하기도 했다.

이들은 '빨리 우크라이나에서 나가라'는 취재진 권유에 "전쟁이 끝나면 귀국하겠다"고 답했다.

정 장관은 이날 의용군으로 참전하겠다며 우크라이나에 입국한 한국인 9명 가운데 2명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지금까지 파악한 의용군으로 간 9분 중에서 3분은 (한국에) 들어오셨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현지에 체류 중인 6명 가운데 여성 1명은 현지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고, 나머지 5명 가운데 3명에 대해서도 소재를 파악하고 연락을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정 장관은 또한 "나머지 2분은 소재조차 파악이 안 돼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외교부는 지난 21일 휴가 중 폴란드로 무단 출국한 뒤 우크라이나로 입국을 시도한 해병대 병사에 대해서는 여권에 대한 행정제재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병사는 우크라이나 측 국경검문소에서 입국이 거부돼 폴란드 측 국경검문소에 머물다 이탈해 현재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