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창용 "3개 리스크 현실로…국내영향 금통위원들과 얘기할 것"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우크라 사태·코로나 경기둔화

"세계 경제 빠르게 변하는데 중책 맡아 마음 무겁기도"

30일 오후 귀국…다음달 1일부터 청문회T/F 사무실로 출근

(영종도=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가 30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해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22.3.30 pdj6635@yna.co.kr(영종도=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가 30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해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22.3.30 pdj6635@yna.co.kr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최근 우려했던 주요 경제 리스크(위험)가 모두 현실이 된만큼, 국내 경제 영향과 이에 맞춘 통화정책 방향 등을 금융통화위원, 한은 임직원들과 논의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이 후보자는 이날 오후 5시 50분 미국 워싱턴DC발 대한항공 비행기(KE094편)로 귀국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이 향후 통화정책 운용 방향을 묻자 그는 "얼마 전 IMF(국제통화기금)이 낸 보고서를 보면 다운사이드리스크(하방위험)로 미국 통화정책의 정상화 속도, 우크라이나 사태, 코로나19로 인한 슬로우다운(경기둔화) 등 세 가지를 제기했는데, 이 세 가지가 다 실현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하방리스크 언급된) 보고서가 1월에 작성된 것인데, IMF 팀 안에서 (위험이 실현됐으니) 이제 어떻게 바꿔야하는 것인지 이야기하는 도중에 (한국으로) 왔다"며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아직 한은 임직원과 얘기한 적 없고, 금융통화위원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도 얘기를 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그는 "지난 2월 한은의 결정도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면전으로 확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 아래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이런 새로운 변화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금융통화위원님들과 한은 전문가들과 얘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난달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한 바 있다.

이 후보자는 한은 총재 지명 소감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무한한 영광이지만 마음이 무겁기도 하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전 세계 경제 여건이 굉장히 빠르게 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책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며 "청문회를 통해 이 중책에 적임한지 검증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다음달 1일부터 서울 중구 삼성본관빌딩 인근 부영태평빌딩에 마련된 한은 총재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 태스크포스(TF) 사무실로 출근할 예정이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