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가 감기 수준?…6개월 내 '이 증상' 발생하면 위험

감염 한달 내 폐색전증 위험 33배·혈전 위험 5배↑

심부정맥 혈전증 위험은 3달, 폐색전증은 6달

서울역 광장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선별 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서울역 광장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선별 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감염 후 한 달 내 혈전 관련 합병증에 걸릴 확률이 최대 33배 증가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경미한 증상을 겪은 경우에도 그 위험성이 수 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현지시간) 영국 의학저널(BMJ)에 따르면 스웨덴 우메오대학교 의과대학은 영국, 핀란드 공동 연구팀과 함께 2020년 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코로나19 확진자 약 100만 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확진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대조군 약 400만 명에 비해 감염 30일 이내에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에 걸릴 확률이 약 33배 높았고,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위험도 5배 가량 증가했다.



또 최대 3개월까지 다리 등의 부위에 심부정맥 혈전증이, 최대 6개월까지 폐색전증이, 그리고 2개월까지 출혈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폐색전증은 코로나19 감염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다리 등 정맥에서 생긴 혈전이 혈관을 타고 이동하다 폐혈관을 막아 급격한 호흡곤란 등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심부정맥혈전증은 큰 정맥 안에서 혈전이 형성될 때 발생한다.

그밖에 연구팀은 심각한 중증 환자일수록, 2차와 3차 코로나19 유행에 비해 1차 유행기간에 해당 증상이 발생할 위험이 더 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런 혈전 관련 부작용이 코로나19 중증 환자들 사이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났지만 가벼운 증상을 겪은 환자의 경우에도 그 위험성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병원에 입원하지 않은 환자도 폐색전증에 걸릴 확률이 7배 높았으며, 심부정맥혈전증에 걸릴 확률도 3배 높았다. 또 폐색전증의 경우 코로나19 감염 후 최대 6개월, 심부정맥혈전증은 2~3개월 동안 그 위험성이 높게 유지됐다”고 전했다.

특히 연구진은 “6개월 이내에 갑자기 숨이 막히는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이를 고려해야 한다”며 “폐색전증은 치명적인 합병증이라는 점에서 그 위험성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지선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