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러 ‘신용등급 추락’ 어디까지…S&P, 선택적 디폴트로 강등

'국채이자 갚을 의지 없다' 판단

서방 제재로 달러 상환 차단도

러 ,100년만에 국가부도 위기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시내에서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행인들이 환전소의 환율 안내판 앞으로 지나가고 있다. EPA연합뉴스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시내에서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행인들이 환전소의 환율 안내판 앞으로 지나가고 있다. EPA연합뉴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디폴트(부도) 직전 단계로 강등했다. 일부 국채 이자를 달러가 아닌 자국 통화 루블화로 지급한 러시아에 ‘채무 상환 의지가 없다’고 본 것이다. 러시아의 디폴트 가능성이 점차 짙어지고 있다.



9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S&P가 최근 러시아 신용등급을 기존 ‘CC’에서 선택적 디폴트(SD)’로 낮췄다고 전했다. SD 등급은 디폴트 직전 단계로 국가 채무 중 일부를 갚지 못했을 때 적용된다. S&P는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2월부터 현재까지 러시아 신용등급을 ‘BBB-’에서 잇따라 낮춰왔다.

관련기사



S&P는 러시아의 채무 상환 의지에 의문을 제기하며 등급 강등을 단행했다. 앞서 러시아 정부는 4일 만기 도래한 총 6억 달러 규모의 달러 표시 국채 이자를 약속된 달러가 아닌 루블화로 지급했다. 이에 대해 S&P는 “만기일 이후 총 30일의 유예기간이 지나 러시아가 달러로 이자를 다시 지급할지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게다가 러시아가 달러로 채무를 상환하려 해도 서방의 제재로 이 역시 차단된 상태다. 실제로 미 재무부는 자국 은행인 JP모건을 통한 러시아 정부의 국채 원금·이자 지급을 불허하기도 했다. 러시아의 ‘실탄’인 외환보유액 역시 점점 바닥을 보이고 있다. 영국 정부는 총 6040억 달러 규모의 러시아 보유외환 가운데 60% 이상이 서방의 제재로 동결됐다고 보고 있다. 젠 사키 미 백악관 대변인도 최근 러시아에 대한 신규 투자 전면 금지 등을 담은 ‘패키지’ 추가 제재를 발표하며 “러시아는 새로운 수입을 창출하거나 달러 보유액이 고갈돼 디폴트에 이르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압박 수위를 높인 바 있다.

로이터는 “러시아가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100년 만에 국제적 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논평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