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첫삽도 못뜬 SK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속도 붙나

[尹의 '반도체 특명']

◆"규제 싹 다 풀어라" 尹 발언 하루 만에 '지원책' 전격 발표

月 최대 80만장 웨이퍼 생산력

정부 심의만 '2년' 끝없이 밀려

尹, 전력 지원 등에 탄력 기대감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예상 조감도.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예상 조감도.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2일 인허가 규제 해소 등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대책을 대대적으로 선보이면서 3년이 지나도록 첫 삽도 못 뜬 SK하이닉스(000660)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 추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문화재 발굴, 전력·용수 지원 등 앞으로 필요한 정부 지원이 앞당겨지는 게 아니냐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SK하이닉스가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생산 기지 마련을 위해 2019년 2월 계획을 발표한 사업이다. 10년간 120조 원을 투자해 경기 용인시 처인구 414만 8000㎡(126만 평) 부지에 메모리반도체 공장 4곳을 만드는 계획이다. 사업 시행자는 SK하이닉스가 출자한 특수목적법인(SPC) 주식회사 용인일반산업단지다. 생산 라인이 완공되면 매달 최대 80만 장의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특히 이 클러스터 사업에는 수도권 거점을 기반으로 국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한다는 복안이 포함돼 있다. 경기 이천·기흥·화성·평택, 충북 청주 등 기존 반도체 사업장과 가까운 만큼 여러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도 있다. SK하이닉스뿐 아니라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협력 업체 50여 곳도 클러스터에 둥지를 틀게 된다.

하지만 이 사업은 정부의 환경영향평가가 연기되면서 차일피일 미뤄졌다. 용인시는 물론 인근 안성시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까지 더해지면서 평가 작업이 지연됐다. 수도권공장총량제의 예외로 인정하는 정부 심의에만 무려 2년이 소요됐다. 이에 더해 땅값 상승으로 지역 주민들에 대한 토지 보상 작업까지 사업의 발목을 잡았다. 토지 수용률을 현 70% 수준으로 끌어올리기까지 사업 주체는 각고의 노력을 쏟아야 했다. 문화재 발굴 등 앞으로 이어질 걸림돌이 더 남은 만큼 착공 시점도 올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넘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시설 완공과 제품 양산은 2026년에나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반도체 시설을 유치하기 위해 중앙·지방정부가 앞다퉈 전폭적 지원을 쏟는 다른 나라와는 대비되는 사례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신규 파운드리 생산 공장을 짓기로 발표한 삼성전자(005930)는 올해 바로 착공에 들어가기로 했다. 제품 양산은 202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다.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보다 2년 이상 늦게 계획을 세우고도 1~2년 더 일찍 가동하게 되는 셈이다. 텍사스 지방정부가 각종 규제 완화 작업을 일사천리로 진행한 덕분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이번 인수위 발표로 전력·용수 등 정부 지원을 더 원활히 제공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