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정식 “노발재단 사무총장 취임 전부터 재단 내 갈등 있었다”

2017~2019년 총장 시절 운영능력 도마 위

취임 전 3개 기관 통합되면서 노사이견 지속

청문회서 당시 재단 상황 고려 여부 쟁점 될 듯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강남구 고용노동부 서울강남지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강남구 고용노동부 서울강남지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고용부 산하기관인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시절 운영 능력이 도마에 오른 가운데 사무총장 취임 전부터 재단 내 갈등이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 공개했다. 4일로 예정된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는 당시 재단 내 갈등이 지금껏 제기된 여러 의혹과 어떤 관계가 있고 그의 기관 운영 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볼 수 있을지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이 후보자는 21일 입장문을 내고 “(재단) 사무총장으로 취임한 후 여러 기관의 통합으로 인한 재단 내의 갈등을 해소하고 공공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하도록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2017년 4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재단장격인 사무총장을 지냈다. 이 때문에 당시 다수 직원들의 징계와 성 비위 사건으로 드러난 기강 해이, 부실 운영 논란이 이 후보자의 운영 능력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눈여겨 볼 대목은 이 후보자가 재직 전 수년간 재단의 상황이다. 재단은 2007년 설립됐다. 그런데 2011년 기존 재단과 1997년 설립된 국제노동협력원, 2005년 세워진 노사공동전직지원센터가 통합되면서 조직 내 갈등이 불거졌다. 현재 재단 인원은 300명이다.

관련기사



재단 측은 20일 입장문을 통해 “3개 조직을 단시간에 합치는 과정에서 구조적 갈등이 있었다”며 “3개 직급체계, 보수체계, 조직문화가 달랐고 사업간 예산칸막이가 해결되지 못해 수년간 노사 의견만 모았다”고 시인했다.

이런 상황이 해결되지 않은 탓에 재단은 2017~2019년 고용부 감사, 국정감사 지적 등이 쏟아졌다는 것이다. 최근 이 후보자에게 제기된 관련 의혹도 이 시기에 집중됐다.

재단 측은 당시 상황이 크게 개선됐다는 입장이다. 고용부가 실시한 기타공공기관 대상 경영평가에서 2017~2018년 C등급을 받았다가 2019~2020년 B등급으로 올라선 결과를 근거로 제시했다. 같은 시기 직원들의 징계 건수도 줄었다. 재단은 이 후보자 재직 시기인 2017~2019년 3차례 태스크포스를 통해 쇄신했고 성과가 뒤늦게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이처럼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그가 재단을 변화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재단의 개선 성과를 이 후보자의 공으로 볼 수 있을지, 재직 당시 제기된 의혹이 조직 내 갈등으로 빚어진 결과인지 등이 다퉈질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자도 “인사청문회에서 업무능력과 도덕성을 검증받겠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장남 병역에 관련해서도 “아들은 병역을 기피하지 않고 어떠한 특혜를 받지 않았다”며 “아들은 지병을 앓고 있었지만 현역병으로 입영했고 병무청의 신체검사를 거쳐 전시근로역 대상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아들은 현재도 (당시 지병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고 특혜 의혹을 일축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