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속보] 당정 “초과생산 쌀 12.6만 톤 추가 시장격리”

초과생산 쌀 27만톤 중 앞서 14.4만톤 시장격리

나머지 12.6만톤 5월 중 매입…최저가 경쟁입찰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쌀 시장격리 당정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성형주 기자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쌀 시장격리 당정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성형주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지난해 쌀 초과생산량 27만 톤 중 12만 6000톤을 오는 5월 추가 시장격리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쌀 시장격리 관련 당정협의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은 “지난해 쌀 27만 톤 공급과잉 중 우선 20만 톤을 격리하기로 했었는데 막상 응찰해보니 14만 4000톤만 낙찰돼 여전히 시장에 공급과잉이 계속됐다”며 “곧바로 농림부가 공고해 5월에 나머지 12만 6000톤을 추가로 매입해 시장의 쌀값 하락을 막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시장격리 매입 방식은 1차 시장격리 때와 같은 최저가 경쟁입찰 방식인 역공매 매입이다. 이같은 방식으로 현장 반발이 심했고 1차 시장격리 목표 달성이 어려웠다는 지적에 대해 이원택 의원은 “1차 시장격리에서 역공매 방식을 했기 때문에 같은 방식으로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다만 농가가 가진 물량은 쌀 시장의 평균가격 이내에서만 쓰면 우선 전량 매입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지금이 정권교체 과도기라 여러모로 정책결정 하는 게 쉽지 않다”며 “문재인 정부가 마지막까지 농민들의 어려운 사정을 고려해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한 12만 6000톤 쌀을 시장격리키로 했다”고 강조했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