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TV쇼핑이야, 넷플릭스야?…SK스토아, 새로운 ‘스토아ON’ 공개

비디오 클라우드·알고리즘 적용

OTT 보는 듯한 TV쇼핑 환경 구현

"진일보한 기술로 T커머스 리딩"

윤석암 SK스토아 대표가 27일 서울 마포구 SK스토아 사옥에서 '스토아 온 2.0'과 '온 비전 2.0'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사진 제공=SK스토아윤석암 SK스토아 대표가 27일 서울 마포구 SK스토아 사옥에서 '스토아 온 2.0'과 '온 비전 2.0'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사진 제공=SK스토아




SK스토아가 넷플릭스 보듯이 TV로 쇼핑을 즐기는 환경을 구현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비슷한 사용자환경(UI)으로 탈바꿈한 것은 물론 시청자의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 맞춤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까지 탑재했다. 그동안 발전해온 기술력을 신성장동력으로 제시하고 고객을 더욱 깊게 분석해 고객에게 가장 알맞은 쇼핑 콘텐츠를 선보인다는 전략이다.

SK스토아는 27일 서울 마포구 SK스토아 사옥에서 설명회를 열고 고객 맞춤형 쇼핑 콘텐츠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아 온(ON) 2.0’과 전 홈쇼핑 채널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온 비전(ON Vision) 2.0’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날 윤석암 SK스토아 대표는 “TV쇼핑 시장이 축소되는 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정교한 타깃 마케팅이 필수”라면서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고객 중심 커머스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스토아 온 2.0은 기존 스토아 온 1.0 버전에서 선보였던 △쇼핑 방송 다시보기 △검색 △편리한 주문 등의 기능을 포함해 개인화 추천 기능을 추가로 도입했다. 이를 위해 SK스토아는 유명 OTT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 방식을 적용했고, 고객들의 시청 데이터를 분석해 관심 있을만한 상품의 방송을 맞춤형으로 추천한다.

관련기사



'스토아 온 2.0'이 적용된 SK스토아 방송 화면 예시/사진 제공=SK스토아'스토아 온 2.0'이 적용된 SK스토아 방송 화면 예시/사진 제공=SK스토아


특히 스토아 온 2.0에는 이미지 클라우드 기술이 아닌 비디오 클라우드 기술이 적용됐다. 기존에는 이미지 방식으로 콘텐츠 리스트가 보였다면 스토아 온 2.0이 지원되는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넷플릭스의 UI에서 구현되는 것처럼 비디오 방식으로 추천 콘텐츠들이 제공된다. 또 기존 상단에 있던 메뉴바를 좌측 내비게이션 구조로 바꿔 고객들이 쇼핑 콘텐츠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검색해 시청할 수 있도록 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10초 단위의 ‘시간 탐색’과 테마별 ‘영상 탐색’ 기능을 지원해 고객들의 선호에 따라 방송을 시청하고 기존에 보던 영상을 이어볼 수 있도록 했다.

SK스토아는 시청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온 비전’도 1.0에서 2.0 버전으로 고도화했다. 기존에는 SK스토아 쇼핑 방송의 데이터에만 수집해 분석했는데 앞으로는 전 TV 쇼핑 채널의 종합적 환경을 분석해 데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타 채널의 프로그램 전후 광고 시간과 시청률, 주문 데이터 등을 연계해 분석한다.

SK스토아는 이 같은 프로그램과 분석 데이터 등을 활용해 T커머스 업계에 새로운 신성장 동력을 제시하고, 상품 소싱과 방송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2.0 버전을 활성화해 현재 22%인 IPTV 연동률을 올해 10월 7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윤 대표는 “앞으로도 데이터와 ICT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중심의 커머스 서비스를 발전시켜 T커머스 업계를 계속 리딩하는 회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