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실련 “전체 지자체 97% 주택 이외 거주 노인가구 증가”

경실련, 기초지자체별 주거현황 분석 결과 발표

주택 이외 공간 거주 노인가구·청년가구 증가

종로구 경실련에서 기초지자체별 주거현황 분석발표 기자회견이 18일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종로구 경실련에서 기초지자체별 주거현황 분석발표 기자회견이 18일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전체 지자체 97%에서 주택이 아닌 공간에 거주하는 노인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이 아닌 공간에 거주하는 청년가구도 전체 지자체의 절반 이상에서 늘었다. 지난달 서울시 영등포구 소재 고시원에서 화재로 인해 2명의 고령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주택 이외 주거공간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기자회견을 열고 기초지자체별 주거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은 △호텔여관 등 숙박업소의 객실 △기숙사 및 특수사회시설 △판잣집비닐하우스 등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의 거처에 거주하는 노인가구와 청년가구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229개 기초지자체를 분석 단위로 설정해 전국 및 지역별 주거현황을 조사했으며 2015년과 2020년 2개 년도의 통계청 조사 결과를 활용해 주거 및 주택 현황의 변화를 관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경실련은 전체 229곳 지자체 중 223곳에서 주택 이외 거처에 거주하는 노인가구 수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지자체의 97.3%에 해당하는 수치다. 노인가구는 경기 수원시(561가구 증가), 경기 화성시(530가구 증가), 경기 부천시(501가구 증가) 순으로 증가했다. 이중 주택 이외의 거처에 임차로 거주하는 60세 이상 단독 가구 수가 증가한 시군구는 185곳으로 전체의 80%에 달한다.

주택 이외의 거처에 거주하는 청년가구 수 또한 전체 229개 중 132곳의 기초지자체에서 증가했다. 이중 청년가구 수는 서울 관악구(4702가구 증가), 경기 수원시(2595가구 증가), 서울 성북구(1369가구 증가) 순으로 증가했다.

경실련은 주택 이외의 공간에 거주하는 가구의 증가는 열악한 주거환경에 노출되는 가구가 늘어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시원과 같은 준주택에 대한 물리적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며 △소방시설 설치 △출입문 보안 강화 △CCTV 설치 △냉난방 시설 개선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천일 경실련도시개혁센터 정책위원은 “주택 이외의 거처에 대해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스프링클러 교체 뿐만 아니라 주거 공간 별로 유형화 해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윤석열 당선자가 주택 이외 거주와 관련해 “비정상 거처 거주자의 완전 해소를 취지로 이들에게 임대보증금을 무이자로 대여하여 정상거처로 이전하겠다”고 언급한 데 대해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실련은 “비정상 거처의 정의 및 범위, 비정상 거처의 현황, 비정상 거처 거주자의 현황, 이주 희망지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황 등에 대해 임대보증금을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지원한다는 것인지 불분명하다”고 꼬집었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