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반도체학과 가면 취업 보장?…고심하는 학생·학부모

정부차원 전폭 지원 나섰지만

"MB정부때 마이스터고 처럼

유행 지나면 열기 식을것"우려

"시장 변해도 꾸준한 학과 선택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반도체 산업의 동향과 반도체 인재 수요' 포럼이 15일 열리고 있다. 세종=연합뉴스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반도체 산업의 동향과 반도체 인재 수요' 포럼이 15일 열리고 있다. 세종=연합뉴스




윤석열 정부가 주요 대학 반도체 관련 학과의 정원 확대를 지시하는 등 연일 반도체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진학를 앞둔 수험생과 학부모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특정 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일단 환영할 만한 요소지만 과거 사례처럼 시간이 지나면 열기가 사그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서다.

17일 서울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대학 진학을 앞둔 수험생 학부모들은 정부의 반도체 육성책이 반갑다면서도 당장 진로를 정하기에는 걱정이 앞선다고 입을 모았다. 고등학생 자녀를 둔 이 모 씨는 “예전에는 ‘융복합 인재’라며 인문학을 강조하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이른바 ‘전화기(전자·화학·기계)’가 취업이 잘된다고 하다가 금세 소프트웨어 인재가 필요하다고 바뀌었다”며 “이번 반도체 인재 열풍도 머지않아 주춤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중학교 2학년 자녀를 둔 김 모 씨는 “3~4년 전만 해도 소프트웨어 인재가 없다면서 전 국민이 코딩을 배울 정도로 열성이었는데 이제는 또 반도체라고 하니 혼란스럽다”며 “정부 얘기만 믿고 따라가다 결국 이명박 정부 때 인기를 끌었던 마이스터고처럼 되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때문에 학부모 사이에서는 이공계 인재상이 수시로 바뀌는 만큼 컴퓨터·전자·재료공학 등 범용성이 높은 학과에 우선 진학해 기초를 쌓은 뒤 나중에 공부를 하는 것도 방법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여전히 반도체 공정을 담당하는 엔지니어는 화학공학과 출신이 많고 설계 엔지니어는 전자공학과 전공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중학생 자녀를 둔 박 모 씨는 “반도체학과를 무작정 늘린다고 반도체 기업이 잘된다는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고 10~20년 후 시장 상황과 인력 수요가 어떻게 될지는 또 모를 일”이라며 “시장 트렌드가 바뀌어도 전자공학과가 많은 분야에서 취업이 잘되듯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학과를 자녀에게 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반도체학과 정원 확대가 필요한 이유로 내건 ‘3년간 10만 명 인력 부족’의 핵심은 ‘학사급이 아닌 박사급 고급 인력의 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성균관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반도체학과에 재학 중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학생이 ‘청년 실업 시대에 무슨 인력 부족?’이라는 게시글을 올려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해당 글에는 “결국 필요한 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고급 인재”라거나 “대학 정원 늘리는 건 별 의미 없고 석박사급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댓글이 달렸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부족하다는 반도체 관련 인력이 학부 수준인지 박사급 이상인지 따져봐야 한다”며 “기업이 전문 인력의 교육 비용을 학교에 전가하고 수도권 대학은 정원을 늘리는 식으로 서로의 이익이 서로 맞아떨어진 결과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이어 “10년 뒤의 시장 상황이나 정부 정책이 바뀌면 그때는 그 누구도 책임져주지 않는다”며 “박사급 이상의 고급 인재를 키워놓으면 오히려 외국으로 빠져나간다던데 일본과 대만처럼 해외의 고급 인력을 끌어들일 수 있는 정책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