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상장사 5곳 중 1곳 최대주주 변경…자주 바뀌는 기업 투자 조심해야





금융감독원이 최대 주주가 자주 바뀌는 기업에 대해 재무 부실, 횡령·배임 등으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높다며 투자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4일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9~2021년) 최대 주주가 변경된 상장사는 총 501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상장사(2383사, 스팩·리츠 등 제외)의 21.0%를 차지한다.



이들 중 최대 주주가 3회 이상 변경된 기업은 코스피 기업 6곳, 코스닥 기업 39곳 등 총 45곳이었다.

관련기사



금감원은 최대 주주가 자주 변경된 업체들 중 재무 상태가 부실한 곳의 비중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곳이 29곳(64.4%)이었으며, 자본잠식 상태인 곳은 13곳(28.9%)에 달했다.

이들 기업 가운데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곳은 22곳(48.9%)이었고, 상폐된 곳은 7곳(15.6%)이었다. 이어 횡령·배임이 발생한 곳은 13곳(28.9%) 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절반(48.9%, 22사)에 가까운 회사에서 최대주주의 보유주식 장내매도와 담보주식 반대매매가 발생했다.

이어 최대주주가 3회 이상 변경된 회사들은 3년간 평균 4.8회의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CB) 발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주 발생이 잦으면 주식 가치가 희석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대주주 변경이 빈번한 회사를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공시 서류에 대해 심사를 강화하고 모니터링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금융감독원자료=금융감독원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