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이수만 "메타버스 통해 누구나 창작·경제활동 하는 것이 한류의 미래"

제3회 세계문화산업포럼 기조연설 '메타버스 시대를 여는 새로운 비전'

"SM 메타버스 안에서 누구나 창조 활동 즐길 것"

이수만 SM 총괄프로듀서가 7일 열린 제3회 세계문화산업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SM엔터테인먼트이수만 SM 총괄프로듀서가 7일 열린 제3회 세계문화산업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SM엔터테인먼트




에스엠(041510)(SM)엔터테인먼트는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가 7일 제3회 세계문화산업포럼에서 ‘메타버스 시대를 여는 새로운 비전: 메타버셜 오리진 스토리’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고 밝혔다.



이 총괄 프로듀서는 이 자리에서 SM의 메타버스 세계관인 SM컬처유니버스(SMCU)에 대해 설명했다고 SM 측은 전했다. 그는 “SM 아티스트들의 고유한 스토리를 아우르는 개념을 ‘메타버셜 오리진 스토리’라고 새롭게 명명했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이번 달 중 공개될 SM의 메타버스 브랜드 ‘광야’에서는 모든 참여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만들고 향유하며 판매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이 프로듀서는 “SM의 콘텐츠는 전 세계 K팝 팬덤과 프로슈머에 의해 재탄생할 것이다”라며 “플레이 투 크리에이트(P2C) 비전을 통해 누구나 창작을 통해 경제활동이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 프로듀서는 지난 5월 스탠퍼드 한국학 컨퍼런스에서도 프로슈머 재창조가 한류의 궁극적 비전이라며, 바이낸스 등과 대체불가토큰(NFT)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콘텐츠와 IP 시대인 웹 3.0 시대 속에서, SM은 가상과 현실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속 한류의 메카 도시를 만들 것”이라는 비전도 밝혔다. SM의 메타버스 속에는 한국의 도시 뿐 아니라 두바이를 포함한 아랍의 건물 등도 디지털 트윈 방식으로 구현된다.

제3회 세계문화산업포럼은 6~7일 ‘메타버스의 시대: 음악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이 프로듀서를 비롯해 이성수 SM 공동대표·다니엘 볼벤 주한 스웨댄 대사·데바스찬 보르겟 더샌드박스 COO·자오쥔 중국과학원자동화연구소 연구원·헤이든 벨 벨파트너스 CEO 등이 참석했다.


한순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