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

'비리 온상' 지목된 상호금융…이복현 "내부통제 원점서 점검"

◆ 4개 상호금융권 대표 간담회

"잇단 횡령사건으로 신뢰 훼손"

순환근무제 등 개선방안 제시

부동산 금융 리스크 강조도

이복현(가운데) 금감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상호금융업권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최준석(왼쪽부터) 산림조합중앙회 사업 대표이사, 조소행 농협중앙회 상호금융 대표이사, 이 원장, 송재근 신협중앙회 신용공제사업 대표이사, 홍진근 수협중앙회 지도경제 대표. 사진 제공=금감원이복현(가운데) 금감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상호금융업권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최준석(왼쪽부터) 산림조합중앙회 사업 대표이사, 조소행 농협중앙회 상호금융 대표이사, 이 원장, 송재근 신협중앙회 신용공제사업 대표이사, 홍진근 수협중앙회 지도경제 대표. 사진 제공=금감원




이복현 금감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상호금융업권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금감원이복현 금감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상호금융업권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금감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잇따르고 있는 상호금융권 횡령 사고에 대해 강한 경고를 보냈다. 금감원은 조만간 각 중앙회와 조합의 내부 통제 운영 실태를 원점에서 재점검해 실효성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부동산 대출에 대해서도 재차 우려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이 원장은 11일 신협·농협·수협·산립조합중앙회 등 4개 상호금융권 대표이사(CEO) 간담회에서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 통제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근 상호금융권에서 크고 작은 횡령사고가 연이어 터지고 있다. 상반기 지역농협에서 확인된 횡령 사건만 9건에 달한다.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 5월까지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유형별 비리 사고 97건 중 횡령이 58건에 달했다. 영세한 지역단위 조합이 부정부패의 온상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유다. 이 원장은 “중앙회가 조합의 임직원 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내부 통제 실태를 면밀히 점검해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조합 역시 효과적인 내부 통제 구축·운영이 금융회사의 자기 책임인 동시에 고객 신뢰 확보를 위한 투자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상임감사 도입 기준 강화, 순회감독역 내실화, 명령휴가제 및 순환근무제 등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금감원과 (상호금융권) 중앙회가 내부 통제 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내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상호금융권이 잠재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부동산금융에 편중된 상호금융권의 포트폴리오와 단기간에 급증한 해외 대체투자에도 우려를 나타났다. 그는 “상호금융권은 부동산업·건설업 대출 비중이 높아 부동산 경기 변동에 따라 조합의 건전성이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서 “기업대출의 업종별 편중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고 최근 도입된 부동산업·건설업 한도규제가 원활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금리, 부동산 가격 등 주요 변수를 반영해 투자자산별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하고 위기 상황별 대응 계획을 마련하는 등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해달라”고도 당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3월 말 상호금융권의 기업대출 중 부동산업 및 건설업 대출 비중은 50.0%에 달한다. 최근 5년간 상호금융권의 해외 대체투자 증가율은 연평균 18.4%로 총자산증가율(4.2%)을 크게 웃돌고 있다. 총자산 대비 대체투자 비중 역시 2020년 말 18.2%에서 2021년 말 21.1%로 2.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