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사업화·자율성 초점…정부, R&D 全과정 개편

기업이 직접 제안한 과제 선정하고

원천기술·상용화 등 원스톱 기획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오른쪽)이 11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연구개발(R&D) 수행기관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오른쪽)이 11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연구개발(R&D) 수행기관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대대적인 연구개발(R&D) 프로세스 개편에 나선다. 시장성과 사업화에 초점을 맞춘 R&D 과제를 발굴하고 연구 과정의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한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업·대학·공공연구소와 ‘R&D 수행기관 간담회’를 열고 지난달 발표한 ‘새 정부 산업기술 혁신전략’의 후속 조치로 R&D 전 주기 프로세스 개편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우선 R&D 전 과정을 사업화 중심으로 재편한다. 시장성 중심의 수요 연계형 기획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이 직접 제안한 비즈니스모델과 연계한 과제와 원천 기술(대학·연구소 주관) 및 후속 상용화 기술(기업 주관)을 일괄적으로 기획하는 ‘원스톱형’ 과제를 신규 도입한다. 최종 제품 중심의 통합형 과제를 확대하고 선정·평가 단계에서도 평가위원 중 시장 전문가 수를 기존 1명에서 2명 이상으로 늘린다. 연구 수행 결과가 우수한 과제에 대해서는 산업기술혁신펀드를 통한 투자 유치와 실증·사업화 프로그램 등 후속 지원도 강화한다.

우수 연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늘리고 연구 수행의 자율성도 대폭 확대한다. ‘산업기술 우수기업 10선’을 신설하고 신규 기술 개발 과제로 한정됐던 R&D 자율성 트랙의 범위를 기존 과제와 인력 양성, 기반 구축 과제까지 확대한다.

산업부는 이와 함께 R&D 과제 평가의 전문성 제고에도 나선다. 평가위원의 과거 평가 결과를 참고해 평가위원을 위촉하고 기술 분류 매칭시스템도 세분화한다. 특히 정부가 민간의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등은 최고 권위자로 평가단을 구성하고 평가 방식도 평가단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