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강석훈 "대우조선 분리매각 등 검토"… 與 " 경영진에 손해배상 청구해야"

지난 25일 경남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작업자가 진수 작업 현장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25일 경남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작업자가 진수 작업 현장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22년째 채권단 관리체제에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두고 산업은행이 분리매각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대우조선해양의 매각 원칙을 묻는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강 회장은 “문제는 매각 자체가 아니라 대우조선해양 자체 경쟁력이 약화된 측면이라고 생각한다”며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다양한 매각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간 대우조선 처리가 대우조선 자체 기업을 처리한다는 관점에서 진행됐다”며 “현재 정부에선 기업 관점뿐 아니라 전체 산업 관점에서 검토하고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와 구조조정이란 틀 내에서 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산은은 대우조선해양의 경쟁력 강화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컨설팅 완료 시점이 1~2개월 늦어질 수 있다고 봤다.

관련기사



앞서 산업은행은 국회 정무위에 제출한 업무보고에서 “최근 수주 호조에도 불구, 강재가 급등, 인건비 상승, 대러시아 제재 장기화 등으로 경영 불확실성 지속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올해 흑자 전환이 사실상 어렵다고 내다봤다. 대우조선해양은 2021년 1조7000억 원의 영업 손실을 낸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5000억 원의 손실을 냈다. 하청 노동조합의 파업, 점거로 생산 차질까지 빚어지면서 약 80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 때문에 이날 정무위 회의에서는 현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진에도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3월 선임된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동생 친구로 알려지면서 ‘알박기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민주노총에서 파업하고 회사를 막아도 대책을 안 세웠다”며 “문책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 할 수 있는 조치를 다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회장은 “최근 대우조선 임직원 명의 일동으로 발표한 대국민사과문에서 경영진 거취를 포함해 모든 책임을 지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며 “관련 피해액은 법무법인에 의뢰해 실상을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로 포함된 산은의 부산 이전에 대해 강 회장은 “2028년까지 한다기보다 가능한 빨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영 기자·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