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CJ ENM, 2분기 영업이익 35.2%↓ 556억원… "하반기 수익성 제고 집중할 것"

매출은 1조 1925억원으로 31.3% 늘었으나 수익성 부진

CJ ENM 로고.. 사진 제공=CJ ENMCJ ENM 로고.. 사진 제공=CJ ENM




CJ ENM(035760)은 4일 올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5.2% 줄어든 55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CJ ENM은 같은 기간 매출은 31.3% 늘어난 1조 1925억원을 나타냈다며 이같이 밝혔다. 회사 측은 4일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개최하고 2분기 실적 및 하반기 경영계획을 발표했다. 엔터 부문 매출은 84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52.7%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361억 원으로 35.4% 줄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351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95억 원으로 34.7% 줄었다. 취급고 감소 및 비용 증가로 이익률이 줄었다.



전체 당기순손실은 249억 원으로 적자전환했다. 관계기업투자손실 309억 원이 반영됐다. 기타영업외손익 390억 원 중 200억 원은 판권 손상인식분이다.

관련기사



콘텐츠 판매는 전년 대비 258.9% 늘었고, TV 광고 매출도 전년 대비 5.9% 성장했다. 다만 TV 광고는 팬데믹·전쟁 영향 등으로 하반기 역신장할 가능성이 있다. 티빙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2.1% 늘어나며 외형 성장 중이다. CJ ENM 측은 하반기 글로벌 콘텐츠 판매를 확대하고 디지털 채널도 강화해 나간다고 밝혔다. 티빙은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강화해 시장점유율을 답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양지을 티빙 대표는 “올해 400만 명 이상의 유료가입자 목표는 달성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엔데버콘텐트 수익성 개선은 진행 중이다. 매출은 2246억 원으로 전분기대비 93% 성장했고, 영업손실은 62억원으로 전분기의 178억원보다는 줄었다. 10개 이상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고, 영국·호주·스칸디나비아 등에서 다큐·음악 등 신규 사업도 시작했다. 회사 측은 하반기 작품 공개가 늘어나며 수익성은 더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2분기 중 기업인수가격배분(PPA) 절차를 진행했고, 영업권으로 남는 금액은 4200억 원 규모다. 전체 상각 규모는 인수 당시 인식한 영업권 4700억 원 감안 시 총 500억 원 규모다. 은 상반기 중 상각된 것은 34억 원이다. CJ ENM 측은 “당분간 상각이 계속되겠지만 영업이익 감안 시 큰 규모는 아니다”며 “엔데버콘텐트 매출·영업이익 정상화로 충분히 커버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영화 부문은 영업손실 41억 원을 기록했다. ‘브로커’와 ‘헤어질 결심’의 국내 박스오피스 부진 영향이 반영됐다. 음악 부문은 영업이익 148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89.4% 늘었다. 일본에서의 INI·JO1 성공이 주효했다.

커머스 부문은 전년 대비 실적이 부진했으나 모바일 이용 고객이 증가했고, 하반기에는 고수익성 상품 포트폴리오를 늘릴 예정이다.

강호성 CJ ENM 대표는 “콘텐츠 IP의 글로벌 영향력이 강화됐고, 음악 사업은 크게 성장했다”며 “하반기는 수익성 제고에 집중해 콘텐츠 성공을 늘리고, 티빙 구독자 확대와 점유율 증가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순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