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울 신축빌라 '깡통전세' 경보…화곡동에선 10건 중 8건

서울 한 빌라촌의 모습. 연합뉴스서울 한 빌라촌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빌라촌에서 전세보증금이 매매가격과 비슷한 수준에서 거래되는 ‘깡통 전세’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5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의 운영사 스테이션3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해와 올해 건립된 서울 신축 빌라의 2022년 상반기 전세 거래 3858건을 분석한 결과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90% 이상인 깡통 전세 거래는 총 815건이었다. 비율로 따지면 전체의 21.1%다.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같거나 그보다 더 높은 경우도 593건에 달했다.



전세가가 매매가에 육박하는 깡통 주택에 세입자로 들어가면 계약 기간 이후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높을 경우 세입자들이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가입할 수 없어 전세사기 피해에 노출될 위험도 커진다.

관련기사



자치구별로 보면 강서구의 깡통 주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강서구 신축 빌라 전세 거래 694건 중 53.5%인 370건의 전세가율이 90% 이상이었던 것이다. 특히 대표적인 빌라 밀집 지역인 화곡동에서만 깡통 주택이 304건 나왔는데 이는 전체의 82.2%에 달한다. 화곡동은 김포공항과 가까워 고도제한에 묶인 지역으로 10층 내외의 빌라가 많고 인근 지역보다 가격이 저렴해 1·2인 가구의 주거 수요가 많다. 강서구의 뒤를 이어 양천구(48.7%), 관악구(48.4%), 구로구(36.8%) 등의 깡통 주택 비율이 높았다.

다방 관계자는 “현재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된 가운데 하반기에도 금리 인상에 따라 거래량이 저조하고 매매가가 하락하는 흐름이 이어질 경우 깡통 전세 위험에 노출될 기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올 상반기 자치구별 신축빌라 ‘깡통전세’ 비율


























서울 전체21.1%
강서구53.3%
양천구48.7%
관악구48.4%
금천구41.5%
구로구36.8%

※'깡통전세' 기준은 전세가율 90% 이상

자료: 다방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