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심심한 사과’ 논란 정치권으로…尹 "문해력 향상시켜야"

尹 “문해력 향상 프로그램 제공돼야”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국무회의에서 “전 세대에 걸쳐 디지털 문해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들도 체계적으로 제공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안건으로 ‘디지털 인재 종합 양성 방안’이 상정되는 것을 언급하며 이 같이 말했다.

최근 온라인상에서 문장의 뜻을 잘못 해석해 논란이 일었는데, 이 같은 일을 막겠다는 것이다.



최근 한 카페 측이 사과문에서 사용한 ‘심심한 사과’라는 표현에 대해 일부 누리꾼들이 뜻을 오해하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관련기사



지난 20일 서울의 한 카페는 웹툰 작가 사인회 예약 과정에서 시스템 오류가 발생한 것과 관련 “불편 끼쳐 드린 점 다시 한 번 심심한 사과 말씀드린다”며 사과문을 트위터에 게시했다.

이를 본 일부 누리꾼들은 ‘심심한 사과’라는 표현에 분개했다. 이들은 카페 측의 사과문을 언급하며 “심심한 사과? 이것 때문에 더 화나는데. 꼭 ‘심심한’이라고 적어야 했나”, “심심한 사과? 난 하나도 안 심심하다”, “어느 회사가 사과문에 심심한 사과를 주냐” 등 날 선 반응을 보였다.

카페 측이 사과문에 사용한 ‘심심(甚深)’이라는 단어는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라는 뜻인데, 일부 누리꾼이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뜻의 동음이의어로 오해한 것이다.

이날 ‘심심한 사과’가 트위터에서 실시간 트렌드 검색어를 기록하자 누리꾼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한 누리꾼은 “실질 문맹률이 높다는 걸 다시 체감했다”며 “맥락만 봐도 무슨 뜻인지 알겠다”고 했다. 반면 “의미를 착각했다고 비웃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는 의견도 있었다.

우리나라의 기본 문맹률은 1%에 불과하지만, OECD 조사에 따르면 읽은 문장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실질 문맹률은 75%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