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덕수 총리 “원전 활용해 수소 만들겠다”

청정수소 중심으로 생산 전환

금융·세제 지원도 적극 검토

한덕수 국무총리가 31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H2 MEET 2022에서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한덕수 국무총리가 31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H2 MEET 2022에서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31일 “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로 수소를 만드는 등 청정수소 중심으로 수소 생산을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수소 공급 체계를 원전 생산 전기로 구축하겠다는 목표로 수소의 생산·유통 등 활용 전반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한 총리는 “수소산업에 필요한 금융·세제 지원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한 총리는 이날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수소산업 전문 전시회 ‘H2 MEET’에서 “불필요한 규제는 과감히 개혁하고 법령이 미비한 분야는 조속히 정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의 첫 수소경제위원회가 곧 열린다”며 “위원회에서 새 정부의 수소경제에 대한 비전과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내 기술과 자본을 이용한 청정수소를 적극적으로 생산·도입하겠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한 총리는 “수소산업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초격차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며 “수소경제 생태계를 탄탄하게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로 수소를 만드는 등 수소 생산을 전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소버스와 수소트럭 등 수소상용차 보급뿐 아니라 선박·드론·항공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도 수소를 적용할 것”이라며 “제철·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에서 수소를 활용하는 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H2 MEET는 글로벌 수소산업 전문 전시회로 올해 세 번째다. 다음 달 3일까지 열리며 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 분야와 관련해 세계 16개국 241개 기업·기관이 참가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