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생산·소비·투자 뒷걸음…신시장 뚫어야 돌파구 열린다


생산·소비·투자가 한꺼번에 꺾이는 ‘트리플 감소’ 현상이 나타나 경기 침체의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 생산이 전월 대비 0.1%, 소비가 0.3%, 설비투자가 3.2% 각각 감소했다. 특히 소비 부진이 심각하다. 소매 판매가 5개월 연속 줄어든 것은 1995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소비 위축의 가장 큰 원인은 고물가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물가에 영향이 큰 국제 원유 가격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어 장담하기는 이르다.



소비가 위축되면 기업은 재고 부담을 견디지 못해 생산을 줄이고 투자도 축소한다. 서로 꼬리를 물며 악순환하는 생산·소비·투자의 동반 감소는 그래서 특히 주의해야 한다. 그러잖아도 코로나19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영향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경제는 바닥 모를 침체로 진입하려 하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새로운 수출 시장을 뚫어 위기의 돌파구로 삼아야 하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면서 “수출과 해외 건설 수주가 경제의 원동력”이라며 “정책금융기관의 충분한 자금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기술 혁신과 시장 개척에 도전적으로 나서도록 정부가 적극 돕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무역금융 공급 규모를 350조 원까지 늘리고 물류·마케팅 비용을 지원하는 등 수출 현장의 애로 해소에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이런 미봉책으로는 지금의 수출 위기를 타개하기 어렵다.

관련기사



정부는 당장 외교적 노력을 다해 연간 10만 대에 이르는 전기차 수출 길을 막은 미국 전기차 보조금 정책부터 돌려놓아야 한다. 최근 수출 쾌거를 이룬 K방산과 원자력발전소 등을 새로운 수출 효자 산업으로 키우고 중동의 대규모 플랜트 사업 수주전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과도한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 유럽과 동남아 등으로 시장을 다변화하는 등 장기적인 수출 전략도 서둘러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