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바이든 "한국 기업 만났더니 미국이 최고 환경이라 하더라"

韓 전기차 차별 문제 해소 쉽지 않을 듯

조 바이든 대통령이 5일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연설하고 있다/EPA 연합뉴스조 바이든 대통령이 5일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연설하고 있다/EPA 연합뉴스




조 바이든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한국 기업들이 미국으로 잇따라 진출하는 것을 언급하며 ‘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재차 강조했다.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한국 대기업들의 공장 유치를 정책 성과로 적극 활용하는 모양새다.



바이든 대통령은 노동절인 이날 위스콘신주 밀워키를 찾아 “전세계의 제조업체들이 미국으로 오고 있다”며 “한국, 일본 그리고 전 세계에서 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의 한 기업 경영자가 나한테 왜 미국으로 온다고 했는 줄 아느냐”며 “그것은 우리가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환경과 최고의 노동자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이건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진짜”라고 강조한 후 “우리는 미래에 미국 노동자들이 미국 공장에서 만든 미국산 제품을 쓰게 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한국 전기차에 대한 차별 문제로 확산한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이처럼 ‘미국 내 제품 생산’을 거듭 강조하면서 한국 전기차 문제의 해법 찾기에도 부담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지난 1일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미국 내 신규 반도체 공장 투자에 대한 환영 성명에서도 “오늘 발표는 미국을 위한 또 다른 큰 승리”라면서 “우리는 전기차·반도체·광섬유와 기타 핵심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