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카카오페이, 금융사기·착오송금 보호조치 강화





카카오페이는 금융사기 및 착오송금 등 사용자 피해 예방을 위한 보호 조치 강화에 나섰다고 6일 밝혔다.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회사는 8월 말 ‘착오송금 챗봇’을 도입했다. 다른 사람 계좌에 실수로 잘못 송금했을 때 시간 제약 없이 카카오톡으로 반환 중개를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다. 착오송금 접수 내역 조회도 가능하며 이전까지 고객센터를 통해서만 받을 수 있었던 착오송금 접수증도 이메일로 직접 발급할 수 있다. 회사는 향후 착오송금 챗봇에서 접수한 내역을 취소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앞서 카카오페이는 8월 중순 ‘사기 이력 탐지기’를 적용하기도 했다. 송금 단계에서 금융사기 소셜벤처 ‘더치트’에 신고된 계좌 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식이다. 이 서비스는 카톡친구 송금, 오픈채팅 송금, 코드송금 등 카카오페이의 모든 송금 서비스에 적용돼 있다.

더치트에 신고된 이력이 없으면 상대방 이름 옆에 파란색 방패 모양의 ‘안전’ 신호가 뜬다. 신고 이력이 있는 계좌주 옆에는 빨간색 방패 모양의 ‘주의’ 아이콘이 표기된다. ‘주의’ 아이콘을 인지하지 못하고 송금을 진행할 경우, 송금 주의 안내 메시지와 함께 ‘그만둘래요’, ‘송금할게요’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오픈채팅 송금의 경우, 상대가 신고된 이력이 있다면 송금 받기 자체가 중단되고 돈은 송금인에게 반환된다.

아울러 카카오페이는 고객확인절차, 이상거래감지시스템(FDS) 및 자금세탁방지(AML)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다양한 수법의 금융사기로 인해 불안이 늘어나는 가운데 사용자들이 걱정 없이 송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치를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3815만 사용자들의 안전과 보안을 최우선으로 해 누구나 마음 놓고 이용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를 만들어 가는 데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