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반려견 순찰대' 9개 자치구로 확대…248개팀 운영

반려견과 견주로 구성된 ‘반려견 순찰대가’ 심야시간 여성 귀갓길에 동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시반려견과 견주로 구성된 ‘반려견 순찰대가’ 심야시간 여성 귀갓길에 동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가 반려견과 견주가 산책하며 담당 지역을 둘러보는 ‘서울 반려견 순찰대’를 강동구에서 서초·송파·금천·강서·마포·서대문·동대문·성동구로 확대한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는 반려견 순찰대 248팀이 이달 4일부터 순찰 활동을 시작했다고 6일 밝혔다. 반려견 순찰대는 지난 5~6월 강동구에서 64개팀으로 시범 운영한 결과 지역사회의 안전지킴이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관련기사



이후 강동구를 포함한 9개 자치구에서 총 663팀이 반려견 순찰대에 신청했고 반려견주 따라 걷기와 명령어 수행능력·외부 자극 반응 정도 등의 심사를 거쳐 248팀이 최종 선발됐다. 사단법인 유기견없는도시가 선발 심사에서 반려견 행동 전문가 참여해 견주와 반려견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진행했다.

새로 출범한 반려견 순찰대는 주민·구청·경찰서·자치경찰위원회간 협업으로 자치구별 실정에 맞는 특화된 순찰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강서구는 개 물림 사고 예방 및 펫티켓 준수를 위한 홍보 활동을 하고 마포구는 목줄 미착용 등 동물보호법 위반 합동계도에 나선다. 서대문구에서는 노인·아동 등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경로당 문안 순찰 활동을 진행하고 서초구에서는 올바른 펫티켓 준수 등 동물복지 캠페인 연계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서울시는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반려견 순찰대 확대로 자율방범 의식이 강화되고 이웃간 소통도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학배 서울시 자치경찰위원장은 “반려견 순찰대 운영 외에도 지방행정과 치안행정 연계를 통해 주민 수요에 맞는 맞춤형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치경찰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