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증권사 'HTS·MTS 장애' 5년새 16배 급증…이용자 피해 268억원





증권사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서비스의 장애 사고가 지난 5년 새 16배나 폭증해 이용자 피해만 26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7일 금융위원회가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무소속)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29개 증권사에서 발생한 HTS·MTS 서비스 장애는 총 1136회로, 피해액은 268억 원이었다.

증권사의 HTS·MTS 서비스 장애는 2017년 50건, 2018년 72건, 2019년 105건으로 증가하다가 2020년 69건으로 주춤했으나, 지난해 840건으로 급증했다. 5년 새 16배가 늘었고 1년 평균 227회가 발생한 셈이다.

HTS·MTS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증권사들도 크게 늘었다. 2017년과 2108년에 각각 15개사, 2019년 20개사, 2020년 18개사였으며 지난해에는 23개사로 전체 증권사의 3분의 2 이상에서 HTS·MTS 서비스 장애가 일어났다.

HTS·MTS 서비스 장애가 5년 연속 발생한 증권사는 DB금융투자, NH투자증권, 교보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 삼성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10개사였다.



국내 5대 증권사 중에서는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이 5년 연속 HTS·MTS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

관련기사



이들 5대 증권사의 HTS·MTS 서비스 장애는 총 88건이었고 키움증권이 33회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삼성증권(19회), NH투자증권(16회), 미래에셋증권(15회), 한국투자증권(5회) 순으로 나타났다.

HTS·MTS 서비스 장애에 따른 최근 5년간 이용자들의 피해액은 총 268억 원이었다. 2017년 23억 원, 2018년 17억 원, 2019년 54억 원, 2020년 78억 원, 지난해 93억 원으로 5년 새 4배 늘었다.

증권사별로 이용자의 피해액이 가장 컸던 곳은 미래에셋증권으로 15차례 장애가 발생하는 동안 76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국내 5대 증권사 이용자의 총 피해액은 144억 원이었다. 미래에셋증권을 제외하면 한국투자증권 40억 원, 삼성증권 15억 원, 키움증권 11억 원, NH투자증권 1억 원 순이었다.

하지만, 거액의 이용자 피해에도 증권사의 보상은 충분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은 피해액 268억 원 중 218억 원을 보상해 피해 보상률이 81% 수준에 그쳤다.

특히, HTS·MTS 서비스 장애가 급증하고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지만, 흥국증권과 다올투자증권은 피해 소비자에 대한 보상 규정조차 없는 등 금융당국의 허술한 관리 체계도 문제로 지적됐다.

양 의원은 "1분 1초가 중요한 증권거래 시장에서 매년 수백 번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5대 증권사 중 3개사에서 5년 연속 장애가 발생했다는 것은 이용자 서비스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