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4억3000만건 국가지식정보 한 곳서 검색·활용…‘디지털 집현전’ 연내 구축

국가지식정보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통합플랫폼 연말 시범서비스

1년 간 시범서비스 후 2024년 정식서비스…네이버·구글에서도 검색

국가적 이용가치가 있는 4억3000만건의 정보 ‘국가지식정보’로 지정


국가기관 등이 분산 제공하고 있는 국가지식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집현전’이 올해 구축된다. 또 국가적 이용가치가 있는 4억3000만건의 정보를 ‘국가지식정보’로 지정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지식정보 지정(안)’,‘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 구축·운영 계획(안)’ 등 3개 안건을 8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개최된 제2회 국가지식정보위원회에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 구축·운영 계획에 따르면 ‘국가지식정보 통합 플랫폼’인 디지털 집현전(가칭)의 서비스를 올해 연말부터 1년간 시범서비스를 거친 후 2024년 정식서비스를 개시한다. 또 디지털 집현전은 네이버와 구글 등 검색사이트를 통해서도 원활하게 검색될 수 있도록 사이트도 최적화 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민간 검색플랫폼 연계는 물론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공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Open API) 개발·보급 및 중소·스타트업 대상 사업화 지원 등 민·관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은 위원회 보고 및 관련 업계·전문가 의견수렴 결과에 따라 통합플랫폼이라는 단일 창구를 중심으로 분산된 지식정보를 연계·개방하고 민간 검색사이트에서도 정확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핵심기능에 주력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국가적 이용가치가 있는 53개 기관 80개 사이트의 디지털 지식정보, 고신문·문헌과 같은 비디지털 지식정보 등 약 4억3000만건(메타데이터 기준)을 ‘국가지식정보 연계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지식정보’로 지정했다.

국가지식정보 지정은 국가적 가치가 높은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로, 지난해 12월 ‘국가지식정보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현황조사와 기관 협의를 거쳐 지속적으로 발굴·지정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가지식정보는 디지털 전환 시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자 핵심 무형자산”이라며 “국민 누구나 원하는 국가지식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및 연계기관과 협력해 효과적인 통합플랫폼 구축에 집중하는 한편, 민간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디지털 집현전을 기반으로 지식정보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