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일상 회복'에 느는 서울 상가…'소비 살아난 것 아니냐' 분석

올 들어 6개월새 10% 증가

윤석열 대통령이 추석 연휴 첫날인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을 방문, 시민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통령실윤석열 대통령이 추석 연휴 첫날인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을 방문, 시민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통령실




코로나19 사태로 급감했던 상가가 다시 늘고 있다. 일상 회복으로 소비가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상가가 증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11일 부동산R114가 공공데이터포털에 등재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가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서울의 상가 수는 34만 6229개로, 지난해 4분기(10~12월) 31만 5294개 대비 3만 935개(9.8%) 늘었다. 올해 들어 6개월 새 약 10%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행된 직후 올해 들어 서울에서 상가 수는 1분기(33만 827개)와 2분기(34만 6229개) 연속으로 늘어났다.



2020년 10월 29일부터 지난해 10월 31일까지 시행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서울의 분기 평균 상가 수는 2020년 36만 8984개에서 지난해 31만 8202개로 13.8% 줄었다.

관련기사



그러나 위드코로나로 지난해 말부터 소비가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올해 들어 상가 수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2분기 기준 서울 상가(34만 6229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된 2020년 4분기(34만 6577개) 수준을 회복한 상태다.

서울 상가 공실률 또한 올해 들어 감소세다.한국부동산원 서울 상가 공실률 분기별 현황 조사를 보면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작년 4분기 10.0%까지 치솟았다가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각 9.5%로 낮아졌다. 소규모 상가의 경우 지난해 4분기 6.7%에서 올해 1분기 6.2%, 2분기 6.1%로 떨어졌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소비가 살아나기 시작한 작년 말 이후 서울에서 상가는 증가하는 분위기"라며 "올해 들어 공실률이 하락세임을 고려할 때 상가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