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프랑스·영국·독일, 이란에 "진정성 없어"…핵 합의 또 교착하나

이란, 합의 복원 조건으로 'IAEA 조사 중단' 제시

유럽 3개국 "이란 진정성에 의구심 들어" 비판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6월 9일(현지시간) 이란 핵시설 감시를 위해 설치한 장비와 동일한 기종의 핵 감시 카메라를 공개했다. 로이터연합뉴스국제원자력기구(IAEA)는 6월 9일(현지시간) 이란 핵시설 감시를 위해 설치한 장비와 동일한 기종의 핵 감시 카메라를 공개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란의 2015년 핵협상 복귀를 위한 협상과 관련해 프랑스, 영국, 독일이 절망감을 드러냈다. 이란의 핵 농축이 핵무기를 제조하고도 남을 양이라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고서를 계기로 협상이 다시 교착되는 모양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들 유럽 3개국은 10일(현지시간) 공동 성명을 내고 "최근 이란의 요구 사항은 이란 핵 합의(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 복귀에 대한 이란의 의도와 진정성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며 "이란의 입장은 이란 핵 합의 복원 가능성을 위태롭게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들 국가는 이란에 핵 합의 복원을 위한 조건을 제시했고 이란은 이달 초 서방의 제재 종료 및 IAEA의 조사 종결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여기에 대해 3국이 비판적 반응을 보인 것이다.

관련기사



이란과 서방이 특히 맞부딪히는 지점은 IAEA의 조사 여부다. IAEA는 7일 보고서를 내고 이란이 60% 농축 이라늄을 55.6㎏까지 생산했다고 밝혔다. 이는 이란이 마음만 먹으면 3~4주 안에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라고 덧붙이면서다. 하지만 이란은 자국의 핵활동이 평화적 목적이라며 IAEA가 날조를 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란은 유럽 3개국의 공동 성명에 대해서도 "비건설적"이라며 "몇 가지 의견 불일치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유럽 3개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라고 유감을 표했다.

이란 핵 합의는 미국과 프랑스, 영국, 러시아, 중국, 독일 등 6개국이 2015년 이란과 체결한 합의다. 이란이 핵무기 개발 노력을 중단하는 대가로 서방이 대이란 경제 제재를 해제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18년 이란 핵 합의를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자, 이란도 IAEA 사찰을 제한하고 우라늄 농축 농도를 높여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월 취임하자마자 이란 핵합의 복원을 선언했고 이후 유럽과 이란 간 협상이 진행돼 왔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