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우크라 자포리자 원전, '핵 재앙' 우려에 결국 가동 전면 중단

우크라 원전 당국 "냉각 상태로 이행 중"

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동부 에네르호다르시의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가운데)과 사찰단이 러시아 점령군의 관리하에 원전을 점검하고 있다. EPA연합뉴스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동부 에네르호다르시의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가운데)과 사찰단이 러시아 점령군의 관리하에 원전을 점검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이 장악 중인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을 결국 중단하기로 했다. 잇따른 포격으로 방사성 물질 누출 위험이 커진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영 원전 운영사 에네르고아톰은 이날 오전 3시 41분 자포리자 원전의 6호 원자로가 우크라이나 전력망에서 차단됐다고 밝혔다. 6기의 원자로 중 마지막 가동 중이던 6호기도 정지되면서 자포리자 원전은 전면 중단됐다. 에네르고아톰은 "(현재 원전은) 안전한 상태인 '냉각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자포리자 원전은 최근 수 차례의 포격에 노출되며 전 세계의 우려를 한몸에 받았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핵 재앙'을 무릅쓰고 원전에 포격을 가했다며 서로를 비난해 왔다. 이에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최근 해당 원전을 사찰을 마친 후 원전 가동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판단을 내렸다. 러시아가 3월부터 원전을 점령했지만 원전 운영은 우크라이나 직원들이 맡고 있다. IAEA 사찰에 참여한 전문가 2명도 현장에 남아 있다.

에네르고아톰은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손상된 전력 시스템의 통신선을 복구했다"며 "이제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원전이 가동 중단된 만큼 비상 수단으로 디젤 연료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