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남역·광화문·도림천 침수피해 막아라" …서울시 '대심도 빗물 배수시설' 착수

내달부터 타당성 조사 용역 시작

총 9000억 투입해 2027년 완공

강동·용산구 등 2단계 사업 계획

서울 양천구 신월동의 빗물배수시설 내부. 사진 제공=서울시서울 양천구 신월동의 빗물배수시설 내부.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가 강남역 일대 등 침수 취약 지역 3곳에 대한 대심도 빗물배수시설 사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한다.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은 지하 40~50m에 만들어진 큰 터널로 폭우시 빗물을 보관하고 하천으로 방류해 지상의 침수 피해를 예방한다. 지난달 집중호우와 최근 태풍 힌남노로 전국 각지에서 심각한 침수 피해를 입으면서 서울시의 이번 사업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지 주목된다.



서울시는 12일 강남역·광화문·도림천 일대에 건설할 시설의 규모를 정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다음 달에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업의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추진을 위해 지난달 말부터 전담 조직인 대심도 사업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는데 내년 상반기까지 용역을 완료하고 2027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사업비는 강남역 일대 3500억 원, 광화문 일대 2500억 원, 도림천 일대 3000억 원으로 국비와 시비를 합쳐 5년간 총 9000억 원이 투입된다. 서울시는 총 사업비 중 50%는 국비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3곳의 방재 성능을 현재 3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인 시간당 최대 95㎜의 강수량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에서 50~1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인 시간당 최대 110㎜ 강수량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선한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우선 1단계로 강남역·광화문·도림천 일대에 먼저 추진하고 2단계로 나머지 사당동·강동구·용산구 일대 3곳의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강남역은 주변보다 10m 이상 낮은 지형으로 폭우가 오면 이 일대로 빗물이 모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시는 강남역~한강 구간에 길이 3.1㎞, 시간당 110㎜ 이상의 폭우를 견디는 규모로 대심도 빗물배수시설 설치를 추진한다.

광화문 일대는 인근 인왕산과 북악산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중되는 지형을 감안해 종로구 효자동~청계천 구간에 길이 3.2㎞, 시간당 100㎜ 이상의 빗물을 처리하는 규모로 설치를 검토한다. 도림천은 타 하천에 비해 폭이 좁아 비가 오면 수위가 빠르게 차고 인근 관악산의 경사가 가팔라 빗물이 빠르게 흘러 내려오는 특징이 있다. 시는 동작구 신대방역~여의도 구간에 길이 5.2㎞, 시간당 100㎜ 이상의 빗물을 처리하는 규모로 설치할 계획이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