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빚 절반 탕감 받은 대출자 3만7000명 넘어

평균 탕감액도 3727만원으로 2배 늘어

최승재 의원 “취약차주 채무조정 시급"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상담창구 연합뉴스서울의 한 은행 대출 상담창구 연합뉴스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렸다가 갚을 능력이 떨어져 대출 원금을 50% 넘게 감면받은 대출자가 4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 만에 약 2배로 늘어난 규모다.



12일 국민의힘 최승재 의원이 신용회복위원회(신복위)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복위 개인 워크아웃(채무조정)을 통해 대출 원금 50% 이상을 감면받은 사람은 3만7727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8년 1만9943명과 비교하면, 3년 만에 1만7784명(89%) 늘었다.

50% 이상 원금 감면자 수는 △ 2018년 1만9943명 △ 2019년 2만2404명 △ 2020년 3만1970명 △ 2021년 3만7727명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많이 증가했다.

올해에도 7월 기준으로 50% 이상 원금 감면자 수가 2만1501명에 달해, 증가세가 계속될 전망이다.



전체 개인워크아웃 확정자 수 대비 50% 이상 원금 감면자 비율도 2018년 27.7%에서 2022년 7월 45.6%로 높아졌다.

관련기사



원금의 80% 이상을 감면받은 취약 차주도 늘고 있다.

원금 80% 이상 감면 대상은 지난 2018년 전체의 0.8% 수준이던 559명에서 2021년 5.1%인 4378명으로 늘었다.

2022년 7월 기준으로는 전체 개인워크아웃 확정자의 5.6%가 원금 80% 이상을 감면받았다.

감면 대상자들의 나이는 평균 40∼50대로, 감면 금액은 평균 1000만원대 수준이지만 원금 50% 이상 감면자들의 평균 탕감금액은 2018년 약 1994만원에서 2021년 약 3727만원으로 약 45% 이상 증가했다.

최 의원은 "코로나19로 인해 개인워크아웃 신청 건수가 늘어나는 것뿐 아니라, 원금의 50% 이상을 감면해주어야 하는 취약계층도 많이 증가했다"며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시급히 시행해 코로나19로 큰 피해를 받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들이 워크아웃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현욱 기자 abc@sedaily.com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