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 80% 육박…8년만에 '최대'

코로나 직전보단 12.8%P나 뛰어

당장 원리금 상환 부담 줄이려

변동형 택하지만 부실 가능성↑

향후 안심전환대출이 관건 될듯

8월 30일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상담 창구에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8월 30일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상담 창구에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이 8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거의 확실하지만 금융 소비자들은 당장 금리 부담이 높은 고정금리 상품보다 단 0.1%포인트라도 금리가 낮은 변동금리를 선택한다. 하지만 변동금리 상품이 금리 상승기 이자 부담이 높을 수밖에 없어 자칫 추가 대출을 받는 ‘영끌족’ 등의 부실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12일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7월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 중 변동금리 비중은 78.4%로 2014년 3월(78.6%) 이후 8년 4개월 만에 가장 커졌다. 국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전인 2020년 1월(65.6%)과 비교하면 2년 6개월 사이 12.8%포인트나 뛰었다. 6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1757조 9000억원)을 기준으로 모든 금융기관의 변동금리 비중이 같다고 가정하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때마다 변동금리를 이용하는 가계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은 3조 4455억 원 늘어난다.

커지는 대출이자 부담 우려에도 불구하고 금융 소비자들은 여전히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를 선호한다. 5년간 금리가 고정되는 고정형 상품과 달리 변동형 상품은 6개월(신규 코픽스 기준)마다 금리가 바뀌기 때문에 금리 인상기에는 이자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매달 원리금 상환 부담감을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 당장 금리가 더 낮은 변동형에 소비자들이 몰리는 것이다. 8일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혼합형(5년 고정형) 금리는 연 4.450∼6.426%다. 반면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는 연 4.070∼6.330%로 상하단 금리가 고정형보다 모두 낮다.

다만 금융권에서는 15일부터 신청·접수가 시작되는 안심전환대출에 주목하고 있다. 안심전환대출은 1·2금융권에서 받은 변동·혼합형 금리 주담대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장기·고정금리 정책 모기지로 바꿔주는 상품으로 대출금리는 연 3.8~4.0%(만 39세 이하 소득 6000만 원 이하 저소득 청년층 연 3.7~3.9%)가 적용된다. 정부는 안심전환대출을 통해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잔액 기준)이 72.7%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