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각국 동시다발 긴축…내년 금리 또 올리면 성장률 0.5%로 추락"

◆세계은행 '글로벌 경기침체' 경고

금리 인상 반세기만에 최대 수준

CPI 상승 잡으려면 추가인상 불가피

"각국 정부 경기침체 유발 않도록

재정정책 뒷받침, 공급 촉진 필요"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세계은행(WB)이 각국 중앙은행의 동시다발적 긴축으로 인해 내년 세계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급 문제에서 초래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전 세계가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고강도의 통화 긴축으로 뛰어들면서 세계경제를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은행은 15일(현지 시간) 발간한 ‘금리 상승에 따른 경기 침체 위험’ 보고서에서 “전 세계 중앙은행은 지난 반세기 동안 볼 수 없었던 동시다발적인 금리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2023년 세계는 경기 침체와 개발도상국의 금융위기로 향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우선 공급망과 노동시장 불균형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내년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세계 평균 5% 수준이 될 것으로 봤다. 세계은행은 각국 중앙은행들이 물가상승률을 목표치인 2%까지 끌어내리려면 2%포인트의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해야 하는데, 이 경우 2023년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5%까지 둔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4%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기준금리가 6%는 돼야 물가를 잡을 수 있지만 이 경우 경제를 침체로 밀어 넣게 된다는 것이다. 세계은행은 “이를 1인당 GDP로 환산하면 0.4% 감소”라며 “기술적 경기 침체의 정의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세계은행이 제시하는 내년 세계경제 시나리오는 세 가지다. 기본 시나리오는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 2.9%에서 내년에 2.4%로 떨어지고, 2024년에는 3.0%로 반등하며 올해 수준을 회복한다는 전망이다. 이 경우에도 내년 성장률은 아시아 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8년 2.6%보다 낮다. 하지만 이는 △원자재 가격 안정 △공급망 문제 완화 △내년 1분기 기준 미 기준금리 3.7%라는 조건을 전제로 하는 희망 섞인 전망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는 내년 3월 현재 미국 기준금리가 4.25~4.5%에 이를 가능성을 34.6%로 가장 높게 본다.

기대만큼 인플레이션이 해소되지 않은 채 인플레이션 전망이 커질 경우 내년 성장률은 1.7%까지 떨어질 수 있다. 2024년 성장률도 2.7%로 올해 예상치(2.8%)를 회복하지 못한다.

이보다 인플레이션 문제가 더욱 심각해져 각국이 보다 공격적 긴축에 나서면 세계경제는 침체에 빠지게 된다. 내년 성장률은 1975년과 1991년 경기 침체 당시 성장률인 1.0%와 1.3%보다도 낮은 0.5%에 그치고, 2024년도 9·11테러가 덮친 2001년 수준인 2.0%에 머물게 된다. 세계은행은 “미국·중국·유로존이 동시에 급격히 둔화되고 있어 세계경제에 약간의 타격이라도 온다면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딜레마도 바로 이 지점에 있다. 마이크 로웬가르트 모건스탠리 포트폴리오 책임자는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경기 침체와 실업률 증가를 감수하고 금리 인상을 강화해야 하는지 딜레마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현재로서는 연준이 물가를 잡는 선택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 위원들은 시장에 경착륙 위험을 경고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세계은행은 경기 침체를 유발하지 않으려면 재정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을 늦추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정책 초점을 소비 둔화에서 공급 촉진으로 옮겨야 한다”며 “추가 투자와 생산성 증대를 추구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