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감독관 1명이 사업장 2600곳 관리…산재공화국인 이유

전체 사업장 비교하니…감독 구멍 불가피

ILO서 두 배 증원 권고했지만, 정부는 감축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9일 세종시 산업안전보건본부 대강당에서 열린 제1회 산업안전보건 감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9일 세종시 산업안전보건본부 대강당에서 열린 제1회 산업안전보건 감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감독인력이 사업장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산재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쓴 배경에는 사고를 예방할 감독인력 부족도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정부는 고용부도 예외 없이 인력 감축에 나선다.



20일 고용부에 따르면 작년 기준 산업안전보건 감독관 수는 815명이다. 전체 사업장 약 210만곳(2021년 기준)을 이들이 감독한다고 하면, 산술적으로 1명이 2600여곳을 맡게 된다. 고용부 관계자는 “법적으로 1명이 2600여곳을 담당하지 않는다”면서도 “예산 등 감독관 운영 업무 관련해 2600여명이 맡는 상황을 참고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감독관이 맡는 사업장이 과도하게 많으면 제대로 된 감독이 이뤄질 수 없다는 게 고용부 안팎의 지적이다. 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장 방문은커녕 사고 발생 점검을 하기에도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일선 현장에서 감독관 1명이 20~30곳을 감독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용부 다른 관계자는 “건설현장의 경우 점검을 갈 때마다 인력, 시공 단계가 바뀐다”며 “현재 인력으로는 제대로 된 감독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족한 감독관 인력은 산재사고로 이어졌다는 게 노동계와 정부의 판단이다. 실제로 근로자 1만명 당 산재사고 사망자수를 뜻하는 만인율은 한국이 0.43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인 0.29를 웃 돌뿐 아니라 일본(0.13)과 독일(0.15)의 3배를 넘는다. 국제노동기구(ILO)는 한국의 감독관 수를 현재보다 두 배 더 늘려야 한다고 권고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앞으로 감독관 수는 더 줄어든다. 고용부는 감독권 정원을 2017년 448명에서 올해 815명으로 두 배 가량 이미 늘렸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는 해마다 공무원 정원의 1%씩 총 5%를 줄일 방침이다. 고용부도 정원 감축 방침이 예외없이 적용된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