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행안부, 네이버클라우드 도입…데이터 기반 ‘정책 발굴’

국민 관심도·사회 문제 반영한 정책 수립 위해 네이버 데이터 활용

사진제공=네이버클라우드사진제공=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는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가 데이터 분석 서비스인 ‘클라우드 데이터 박스(Cloud Data Box)’로 분석한 현안 결과를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관련기사



클라우드 데이터 박스는 안전한 빅데이터 분석 환경에서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인사이트를 발굴을 돕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분석 서비스다. 네이버 사용자들이 검색 및 클릭한 키워드 데이터셋부터 인공지능(AI) 학습용 이미지 및 텍스트 데이터까지 축적된 데이터 자산을 활용할 수 있다. 네이버클라우드에서만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국민의 관심사 및 추이 분석, 정책 관련 키워드 분석 등이 가능하다. 보안 유지 및 데이터 임의 반출 제한도 철저해 데이터 분석 결과물을 제3자로부터 보호해준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국민 관심사 및 사회 문제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데이터 기반 정책을 수립하고자 클라우드 데이터 박스를 활용한 검색어 분석을 시행하고 있다. 얼마 전 유가 급등과 관련하여 가짜 석유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으며 재난지원금을 현금으로 불법 할인하는 시도가 있음을 파악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를 유관 기관과 공유해 부적절한 유통 경로 점검을 강화하고 사전 차단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 코로나 일상 회복 전후 국민들의 관광 여가 패턴 변화를 분석하여 가족 단위 중심의 휴가, 지역적 문화 격차 등을 확인하기도 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행안부를 비롯한 정부가 네이버 데이터를 활용해 정책, 현안, 국민 관심사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서비스 제공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김준범 네이버클라우드 공공세일즈 이사는 “클라우드 데이터 박스 서비스는 공공 분야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기술 검증(POC, Proof of Concept) 등을 위해 도입 문의가 활발한 상황이다”며 “정교하고 실효성 높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 경쟁력 있는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을 지속해서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