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민 10명 중 9명 "노조 활동, 불법행위는 안돼"

경총 ‘노조·노동운동 인식 조사’

"정부 대응 소극적"도 절반 넘어

지난달 18일 하이트진로 본사 옥상 광고탑을 점거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서울 강남구 청담동 하이트진로 본사 앞에서 열린 '고공농성 승리 결의대회'를 지켜보고 있다./오승현 기자지난달 18일 하이트진로 본사 옥상 광고탑을 점거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서울 강남구 청담동 하이트진로 본사 앞에서 열린 '고공농성 승리 결의대회'를 지켜보고 있다./오승현 기자




국민 10명 중 9명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한 노동조합의 불법행위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노조의 불법행위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응답도 절반을 넘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나라 노동조합 및 노동운동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서 최근 대우조선해양·하이트진로 등에서 발생한 사업장 점거, 고공 농성 등 불법행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은 결과 ‘노조 활동이더라도 불법행위는 용납할 수 없다’는 응답이 89.8%에 달했다.

관련기사



세부적으로 ‘노동조합의 요구는 이해하지만 불법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답변이 67.5%를 차지했고 ‘집단적 이기주의이며 불법행위는 절대 용납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22.3%에 이르렀다. 반면 ‘종사자들의 여건 개선을 위해 불법행위도 가능하다’는 응답은 10.2%에 그쳤다.

정부가 노조의 불법행위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시각도 상당했다. 응답자의 58.4%는 정부가 ‘소극적이고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답했고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응답은 18.7%에 불과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은 우리나라 노동운동 자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노조와 노동운동에 대한 인식을 묻자 13.7%는 ‘매우 부정적’, 42.4%는 ‘다소 부정적’이라고 답하는 등 응답자의 56.1%가 부정적인 인식을 내비쳤다.

노조와 노동운동에 부정적 인식을 가진 이유로는 ‘불법 집회, 사업장 점거 등 불법행위’라는 응답이 44.7%로 가장 많았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