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尹 비속어' 논란에 김근식 "野, 흠집내기 몰두…尹도 쿨한 사과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를 마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를 마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만난 뒤 회의장을 나오면서 비속어로 미 의회를 폄훼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는 보도와 관련, 김근식 경남대 교수가 "초당적 외교에 초강력 흠집내기만 몰두하는 일부 언론과 민주당은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 교수는 또한 윤 대통령을 향해 "대통령께서도 '바이든'이든 '날리든'이든 상관없이 비속어 발언에 대해 쿨하게 사과하고 '대통령의 발언의 엄중함을 깨닫는 계기로 삼겠다'고 하는 게 맞다"고도 했다.

국민의힘 비전전략실장을 지낸 김 교수는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비속어 논란 영상이 엠바고도 해제되기 전에 모 기자가 주관적 판단 하에 주위에 퍼날랐고, 삽시간에 한미관계 해치는 영상으로 기정사실화 돼 버렸다"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먼저 대통령실에 사실관계 확인부터 하고 엠바고 해제 이후 퍼날랐어야 하는 게 최소한의 기자의 윤리"라고 지적한 뒤 "야당의 원내대표는 한술 더 떠서 엠바고 풀리기도 전에 온라인상 떠도는 영상을 보고 공식석상에서 비난 발언을 퍼부었다"고 날을 세웠다.

관련기사



김근식 경남대 교수. 성형주 기자김근식 경남대 교수. 성형주 기자


아울러 김 교수는 "대통령의 정상외교를 폄훼하고 흠집내기 위한 저자거리의 '키득거림'이 정언유착으로 공식 기사화 된 것"이라면서 "도대체 누구를 위한 것인가. 대통령을 비난할 수 있다면 사실 확인도 국익도 한미관계도 필요없다는 건가"라고 적었다.

여기에 덧붙여 김 교수는 윤 대통령에게 "핫 마이크 실수는 정직하게 인정하고 넘어가면 이렇게까지 정쟁의 수렁으로 확대 재생산되지 않는다"면서 "전국민 듣기평가를 요구하기 전에, M방송과 야당의 부적절한 행동을 비판하는 것과 별개로, 일단 XX 발언에 대해서는 깔끔하게 사과하는 게 필요하다. 발언의 당사자가 대통령 본인인 만큼 대통령께서 진실을 제일 정확히 아실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김 교수는 "바이든이 아니라 우리 야당에게 한 발언이라고 팩트체크 하기 전에, 비속어 사용에 대한 사과부터 하는 게 정치의 기본"이라고 썼다.

이와 함께 김 교수는 "야당과 일부 언론의 부적절한 과잉 정쟁화도 마땅히 비판받아야 하지만, 윤 대통령께서도 이제 검사의 발언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통령이자 통합과 협치와 포용을 이끌어내야 하는 정치지도자의 발언에 익숙해야 한다"며 "그래야 이번 해프닝이 정치지도자로서 윤 대통령에게 약이 된다"고 강조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